비트코인 일별 시세
거래소별 시세 (비트코인 기준)
거래소명 | 현재 시세 | 오늘 시작가 | 변동률 |
---|
본 계산기는 단순 계산기가 아닙니다.
업비트 일봉 기준으로 실제 데이터를 자동으로 수집하여 계산합니다. 수집 가능한 기간을 기준으로 하며, 최신 정보가 주기적으로 업데이트 됩니다.
계산가능기간: 2017-09-25 ~ 2025-04-23
날짜를 입력하면 단가 입력없이 자동으로 해당 날짜의 시세로 계산합니다!
투자금액 | 만원 | |
---|---|---|
매수날짜 |
|
|
매도날짜 |
|
원금 | 원 | |
---|---|---|
최종금액(원금포함) | 원 | |
수익률 | % | |
기간내 최고수익률 | % | |
기간내 최고금액(원금포함) | 원 | |
기간내 최저수익률 | % | |
기간내 최저금액(원금포함) | 원 |
가상화폐 관련 최신 뉴스 기사입니다.
본 계산기는 업비트의 1일봉 단위로 데이터를 수집하여 투자금액 대비 수익률을 산출합니다. 예를 들어 2020년 1월 1일부터 2021년 1월 1일까지 1년간 비트코인을 가지고 있었다고 가정한다면, 매수날짜를 2020년 1월 1일로 설정하고 매도날짜를 2021년 1월 1일로 설정하면 원금을 포함한 최종금액 뿐만 아니라 해당 기간동안 최고가 및 최저가를 한 눈에 볼 수 있습니다.
돈나무에서는 이 계산기 이외에 다양한 계산기를 제공하니, 실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계산을 통해 여러분만의 금융 계획을 수립하고 부자되세요!
계산이 필요할 때 사용하세요!
거래소명 | 현재 시세 | 오늘 시작가 | 변동률 |
---|
디지털 자산 소개
비트코인은 '나카모토 사토시(가명)'가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개발한 최초의 디지털 자산입니다. 기존 화폐와 달리 정부, 중앙 은행, 또는 금융기관의 개입없이 알고리즘에 의해 발행되며, 거래내역은 P2P(Peer to Peer) 네트워크에 참여한 사용자들에 의해 검증되고 관리됩니다. 뛰어난 보안성과 제한된 발행량 덕분에 가장 대표적인 디지털 자산으로 자리잡았습니다.
기술적 특징
1. 비트코인 네트워크에서 거래내역을 위조, 변조하기 위해서는 전체 네트워크 참여자 중 과반을 넘는 연산 자원을 확보해야 하는데, 이 거대한 컴퓨팅 파워를 확보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에 가까워 높은 보안성을 가집니다. 2. 비트코인은 SHA-256 해시 알고리즘 연산을 수행하는 작업증명(Proof of Work, PoW) 방식으로 전송의 유효성을 증명합니다. 이 검증 연산에 대한 보상으로 채굴자에게 일정한 보상이 비트코인으로 주어지며, 이 보상은 약 4년마다 감소해 장기적으로 2100만개를 초과해 발행할 수 없도록 설계되었습니다.
현재와 미래
영향력을 계속해서 확장해나가는 비트코인은 전통 금융권에서조차 가치 저장수단, 인플레이션 헷지 도구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무엇보다 비트코인이 보여준 블록체인 기술의 가능성과 이 것이 형성한 새로운 모습의 생태계는 디지털 세상에 거대한 변화를 일으킬 것으로 예상됩니다.
디지털 자산 소개
이더리움(Ethereum)은 2013년 비탈릭 부테린(Vitalik Buterin)에 의해 탄생하였습니다. 이더리움은 스마트 컨트랙트를 위한 분산 네트워크로 현재 많은 디앱(DApp)들이 이더리움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고 있습니다. 또한 ERC-20이라는 이더리움 네트워크에서 탄생한 토큰들의 표준을 제시하여 토큰간 호환성도 증진시켰습니다. 현재 ERC-721 기반의 수많은 NFT 또한 이더리움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탄생하고 있습니다. 이더리움(ETH)은 이더리움 네트워크에서 화폐처럼 사용되는 디지털 자산입니다.
기술적 특징
1. 이더리움은 2015년부터 합의 알고리즘으로 작업증명방식(Proof of Work, PoW)을 사용해오고 있지만, 현재는 지분증명방식(Proof of Stake, PoS)으로의 전환을 준비중에 있습니다. 이를 통해 검증에 필요한 자원과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2. 이더리움클래식과 같이 거래를 기록하기 위해 계정 기반 모델(Account-based model)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는 저장공간을 절약하고, 디앱(DApp) 개발 방식을 단순화하며, 계정간의 대체가능성(Fungibility)을 높여 중앙화 블랙리스트에 편입될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현재와 미래
이더리움은 비트코인 다음으로 시가총액이 세계에서 가장 큰 디지털 자산이며, 스마트 컨트랙트 기능의 도입으로 블록체인 2세대의 시작을 열었습니다. 이더리움 플랫폼 위에서 수많은 비즈니스 앱이 탄생하였으며, 이더리움은 이들이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는 분산 네트워크를 지향하고 있습니다. NFT 시장의 확대로 이더리움의 가능성은 더 주목을 받고 잇습니다. 앞으로도 많은 기능들이 이더리움에 추가될 예정이며,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효율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활발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디지털 자산 소개
네오는 듀얼 토큰 메커니즘(Dual Token Mechanism)을 최초로 채택한 퍼블릭 블록체인(Public Blockchain) 플랫폼입니다. 듀얼 토큰 메커니즘 하에서는 거버넌스 참여에 대한 권리와 네트워크 사용에 대한 권리가 분리됩니다. 네오 토큰(NEO)은 거버넌스 참여에 대한 권리로서 사용되며, 모든 블록은 일정량의 가스토큰(GAS)을 생성합니다. 블록에서 생성된 GAS는 합의 과정에 참여한 노드들에게 재분배됨으로써 네트워크 참여에 대한 경제적 유인을 제공합니다.
기술적 특징
1. NEO의 권리는 거버넌스 구성원을 뽑는 투표권과 합의에 참여한 노드들이 GAS를 청구할 수 있는 권리로 구성됩니다. 2. 대략적으로 28%의 NEO는 멀티시그(Multi-signature) 주소로 락(locked)되어 있으며, 약 72%의 NEO만이 시장에 유통되고 있습니다. 멀티시그란 거래하는데 있어 여러개의 개인 키(Private key)가 필요한 경우를 말합니다.
현재와 미래
네오 플랫폼에서 수많은 디앱(DApp)들이 탄생하고 있으며, 개발자들과 사용자들을 위한 커뮤니티 역시 활성화되고 있습니다. 네오 플랫폼은 거래 처리량을 획기적으로 늘리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네오 탈중앙화 거래소(Decentralized Exchange, DEX) 출범을 준비 중에 있습니다. 이를 위해 거래 처리속도 개선, 상호운용성 확보, 토큰 가치의 안정성 등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디지털 자산 소개
메탈코인(MTL)은 시간과 공간에 구애됨 없이 언제 어디서나 주고 받을 수 있고, 거래할 수 있는 화폐를 목적으로 고안된 디지털 자산입니다. MTL은 메탈페이 앱 내에서 결제 수단으로 사용되거나 송금 및 구매 시 보상의 용도로 사용됩니다.
기술적 특징
1. 메탈은 초기 단계에서 공정거래증명(Proof of Processed-Payments, PoPP) 합의 알고리즘 프로세스를 통해 사용자들에게 인센티브 방식으로 MTL을 분배하였으며 이를 위해 신원 확인 기술을 적용한 AML 및 사기방지 시스템을 도입하였습니다. 2021년 9월 토큰 분배가 완료된 이후 PoPP 분배는 종료되었습니다. 2. 메탈은 일상 결제 시스템 구축과 관련한 다중 블록체인의 필요성을 인식하여, 여러 디지털 자산들의 블록 간 교환을 통한 디지털 자산 전송 방법을 채택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데이터 전송의 효율성을 높혔습니다.
현재와 미래
메탈은 최근 미국 워싱턴 주와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송금업체 라이센스를 취득하여 미국에서 메탈페이를 통한 금융 서비스 범위를 넓혀 나가고 있습니다. 또한 향후에는 다양한 가상자산들을 메탈페이에 추가함으로써 메탈페이 사용자들에게 더 빠르고 쉬운 결제 서비스를 제공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디지털 자산 소개
라이트코인은 비트코인의 소스코드를 포크(Fork)한 프로젝트로, 속도와 접근성 향상을 통해 비트코인 대비 실용적이고 확장성이 높은 디지털 자산이 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라이트코인(LTC)은 라이트코인 네트워크의 기본 통화로서 라이트코인 네트워크 내에서 결제 및 가치저장, 수수료 지불의 용도로 사용됩니다.
기술적 특징
1. 라이트코인 네트워크는 P2P(Peer to Peer) 네트워크를 이용한 작업증명(Proof-of-Work, PoW) 합의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합니다. 또한, 라이트닝 네트워크 솔루션을 통해 모든 트랙잭션 내역을 오프체인에 등록한 후 종합하여 온체인에 도입하는 프로세스를 따릅니다. 이로 인해 라이트코인 네트워크는 거래 처리속도가 빠르고, 수수료가 절감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2. 라이트닝 네트워크 솔루션은 다중 키와 시간 잠금 계약에 의하므로 장부 조작이 불가능합니다. 이를 통해 라이트코인 네트워크의 신뢰 확보가 가능해집니다.
현재와 미래
LTC는 수수료 절감과 빠른 처리속도를 기반으로 일상적인 결제수단으로서의 지위를 공고히 해나가고 있습니다. 향후 라이트코인은 여러 기업들과 제휴 및 파트너십을 통해 일상 결제수단으로서의 사용범위를 넓혀나가기 위해 노력할 것입니다
디지털 자산 소개
리플은 글로벌 송금을 위한 블록체인 프로토콜 겸 디지털 자산(XRP)입니다. 전 세계 금융기관들이 리플 네트워크 하에서 글로벌 송금 요청 시, 이를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궁극적인 목표로 삼고 있습니다.
기술적 특징
1. 리플은 자체적인 리플 프로토콜 합의 알고리즘인 타원곡선 디지털서명 알고리즘(ECDSA)을 사용합니다. 트랜잭션이 발생할 때, 혹은 일정 시간이 지날 때, 모든 노드에서 XRP원장(사용자의 계정에 있는 XRP 기록)에 대한 합의를 진행합니다. 2.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보다 훨씬 빠른 트랜잭션 처리 속도를 가지고 있어, 다른 디지털 자산보다 빠르게 송금 신청, 거래 등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
현재와 미래
리플은 금융기관에 액스래피드, 액스커런트, 액스비아 등의 송금, 결제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다수의 글로벌 금융기관과 국내 1금융권 은행들이 현재 리플의 고객사로 있습니다. 향후 리플은 은행, 결제 서비스 업체, 디지털자산 거래소 등의 금융 시스템을 리플 네트워크 생태계 하에 두며 결제시장 내에서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디지털 자산 소개
이더리움클래식(Ethereum Classic)은 스마트 컨트랙트를 지원하는 분산 네트워크로서 2016년 '더 다오(The DAO)' 해킹 사건을 계기로 기존 이더리움에서 분리되어 생성되었습니다. 사건의 대응 방안으로 하드포크(Hard Fork)가 제안되었지만 이더리움 커뮤니티의 몇몇 세력들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고 원래의 이더리움 체인을 따르겠다고 선언하여, 이더리움클래식과 이더리움이 나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이더리움클래식 네트워크는 이더리움클래식 토큰(ETC)이라는 디지털 자산에 의해 운영되고 있습니다.
기술적 특징
1. 작업증명방식(Proof of Work, PoW)의 합의 알고리즘을 사용하고 있으며, 현재의 이더리움클래식 지지자들은 이 방식을 고수하고 있지만, 해당 방식의 연산처리능력은 타 합의 알고리즘 방식에 비해 느리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2. 이더리움클래식은 거래 기록 방식으로 계정 기반 모델(Account-based model)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는 저장공간을 절약하고, 디앱(DApp) 개발 방식을 단순화합니다. 또한 계정간의 대체가능성(Fungibility)을 높여 중앙화 블랙리스트에 편입될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현재와 미래
이더리움은 다양한 프로젝트를 통해 네트워크를 확장하여 수요측면에서 이더리움(ETH) 가격 상승을 견인해 온 반면, 이더리움클래식은 공급량 조절에 의한 ETC 가격 상승을 유도해 왔습니다. 이더리움클래식은 2017년 전반적인 네트워크 수정 이후, 500만 블록마다 채굴 보상을 20%로 줄이는 정책을 도입하는 등 ETC의 공급량을 점진적으로 줄여갈 계획입니다.
디지털 자산 소개
오미세고는 레이어-2 솔루션인 플라즈마(Plasma)를 제공하는 프로젝트로 이더리움의 확장성 문제를 해결하고 트랜잭션 수수료를 낮추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오미세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들은 디지털 자산을 자유롭게 거래할 수 있습니다. 토큰 보유자들은 오미세고 토큰(OMG)을 보유함으로써 오미세고 네트워크의 검증자(Validator)로서의 권한을 얻게됩니다.
기술적 특징
1. 오미세고는 비잔틴 장애허용(Byzantine Fault Tolerance,BFT) 지분증명(Proof-of-Stake,PoS) 합의 알고리즘을 사용하며, 플라즈마 기술을 도입하여 블록 처리가 지연되는 문제를 해결합니다 2. 오미세고는 화이트라벨 지갑 SDK(White-label Wallet Software Development Kit)를 통해 디지털 자산들의 트랜잭션을 지원하고, 각종 상황들에 맞는 맞춤형 트랜잭션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현재와 미래
오미세고는 레이어-2 플랫폼인 OMGX를 출시하고, 이더리움에 Boba 네트워크 메인넷을 출시하는 등 지속적으로 확장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솔루션을 개발해 나가고 있습니다. 향후 오미세고는 옵티미스틱 롤업(Optimistic Rollup) 솔루션을 개발하는 등 사업 영역을 확장해 나갈 것으로 예상되며, 여러 프로젝트들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OMG의 사용처 또한 늘려나갈 것으로 전망됩니다.
디지털 자산 소개
스테이터스네트워크는 이더리움 블록체인 기반의 메시지 플랫폼입니다. 스테이터스 네트워크에서는 P2P(Peer to Peer) 형태로 메세지를 전달하기 때문에 네트워크에서 발생하는 상호작용은 당사자들 외에는 확인할 수 없습니다. 스테이터스 네트워크 내에서는 메시지 뿐만 아니라 소액결제, 디지털 자산 거래 등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스테이터스네트워크 토큰(SNT)은 스테이터스 네트워크 내에서 발생하는 모든 거래 계약에 사용되는 디지털 자산입니다.
기술적 특징
1. 스테이터스 네트워크는 이더리움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이더리움 블록체인 기반의 다른 디앱(DApp)과 호환이 가능합니다. 2. 사용자에 대한 보안을 강화하기 위하여 개인키를 하드웨어 지갑인 키카드의 형태로 보유합니다.
현재와 미래
SNT가 유의미한 가치를 지니기 위해서는 스테이터스 네트워크에 등록된 디앱이 메시지 기능 이상으로 다양해져야 합니다. 향후 스테이터스네트워크는 결제 및 디지털 자산 거래 등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디앱들을 유치하여 유저들을 네트워크에 유입시키고 네트워크를 확장해나갈 것입니다.
디지털 자산 소개
웨이브는 디지털 자산의 개발, 전송, 거래 및 디앱(DApp) 개발을 위한 플랫폼입니다. 자체 내장된 P2P(Peer to Peer) 방식의 디지털 자산 거래 기능을 통해 탈중앙 거래소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비트코인, 이더리움과 같은 디지털 자산의 거래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웨이브 토큰(WAVES)은 웨이브에서 사용되는 디지털 자산으로 다른 디지털 자산과 교환하거나, 토큰을 생성, 발급할 때의 수수료로 사용됩니다. 웨이브는 궁극적으로 블록체인 클라우드 펀딩 플랫폼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기술적 특징
1. 위임지분증명(Delegated Proof of Stake, DPoS)과 유사한 리스지분증명(Leased Proof of Stake, LPoS)을 합의 알고리즘으로 사용합니다. 리스지분증명은 위임지분증명과 다르게 노드 생성에 제한이 없다는 특징을 갖고 있습니다. 2. 웨이브만의 Waves NG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시간당 트랜잭션 처리 속도를 높였습니다.
현재와 미래
웨이브는 싱가포르 정부의 디지털 자산 판매 플랫폼을 구축 프로젝트, 러시아 중앙 예탁결제기관의 디지털 자산 지원 플랫폼 개발에 참여하고, 러시아 버거킹 등과도 제휴를 맺는 등, 활발한 비즈니스 협약에 노력을 가하고 있습니다. 웨이브는 지속적인 개발을 통해 100% 튜링 완전성을 목표로 하고 있고, 전 세계로의 확장 계획을 세우고 있습니다.
디지털 자산 소개
넴(Nem)은 개인 개발자들이 맞춤 블록체인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는 블록체인 플랫폼입니다. 개인 개발자를 위한 오픈 소스 형태의 퍼블릭 블록체인과 기업 개발자를 위한 프라이빗 블록체인을 동시에 제공합니다. 넴 토큰(XEM)은 넴 생태계의 거버넌스 토큰입니다.
기술적 특징
1. 넴은 중요도 증명(Proof of Importance, PoI) 합의 알고리즘을 사용하며, 해당 알고리즘 하에서는 채굴량이나 보유량이 아니라 얼마나 많은 거래를 하는 지에 따라 보상이 결정됩니다. 2. 넴은 자체 API와 SDK(Software Development Kit)을 제공하여, 누구나 새로운 프로그래밍 언어를 배울 필요없이 쉽게 블록체인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습니다.
현재와 미래
넴은 퍼블릭 블록체인과 프라이빗 블록체인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금융기관 활용도가 높아, 현재 일본의 금융기관과 동남아시아 지역의 테크로뷰로(Tech Bureau)사, 드래곤 플라이(핀테크사) 등이 넴을 이용한 개발을 추진 중에 있습니다. 또한 펀디엑스(PUNDIX)사가 넴 블록체인으로 운영되는 POS 단말기를 개발하여 활용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넴은 쉽고 강력한 블록체인 서비스 개발 플랫폼으로서 더 넓은 영역으로 확장해나갈 것으로 기대됩니다.
디지털 자산 소개
퀀텀은 비트코인 블록체인의 느린 속도를 보완하고 이더리움의 스마트 컨트랙트를 도입하여 디앱(DApp)을 개발할 수 있도록 한 블록체인 플랫폼입니다. QTUM은 퀀텀의 네이티브 토큰이며 퀀텀 네트워크 내 페이먼트와 가치 저장의 용도로 사용됩니다.
기술적 특징
1. 퀀텀은 비트코인의 결제시스템인 UTXO와 이더리움 가상머신(Ethereum Virtual Machine)을 결합한 AAL(Account Abstraction Layer)을 구축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컨트랙트 개발자는 비트코인 블록체인 기반의 이더리움 스마트 컨트랙트를 개발할 수 있습니다. 2. 퀀텀은 지분증명(Proof-of-Stake, PoS) 버전 3을 구현하여 QTUM을 예치(Staking)한 경우 거래 수수료를 보상으로 배분합니다.
현재와 미래
퀀텀은 지속적인 메인넷 업데이트를 통해 확장성을 넓히고 있으며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블록체인 시스템을 구축해나가고 있습니다. 향후 퀀텀은 여러 디파이(DeFi) 및 디앱들과 파트너십을 맺어 퀀텀 생태계를 확장하고, 크로스체인 브릿지(Bridge)와 이더리움 툴을 통한 스마트 컨트랙트 통합을 이뤄내 퀀텀만의 인프라를 공고히 해 나갈 것으로 전망됩니다.
디지털 자산 소개
리스크는 개발자들이 쉽게 자신만의 디앱(DApp)을 만들 수 있도록 지원하는 오픈소스 플랫폼입니다. 리스크 토큰(LSK)은 리스크 플랫폼 내의 트랜잭션에 대한 수수료로 사용되는 유틸리티 토큰입니다.
기술적 특징
1. 리스크는 메인체인에서 분리된 별도의 사이드체인을 사용합니다. 사용자들은 사이드체인에서 쉽게 디앱 개발 및 관리를 수행할 수 있고, 사이드체인은 높은 수준의 확장성을 보유할 수 있습니다. 2. 리스크는 위임지분증명(Delegated Proof-of-Stake, DPoS) 방식의 합의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하며, 가장 일반적인 프로그래밍 언어인 자바스크립트 언어를 사용함으로써 많은 웹 개발자들이 언어 장벽 없이 디앱을 개발할 수 있습니다. 3. 리스크는 자바스크립트 기반의 사이드체인 개발도구(Sidechain Development Kit)를 제공하기 때문에 누구나 쉽게 리스크의 사이드체인과 그 체인의 디앱을 개발할 수 있습니다.
현재와 미래
리스크는 개발자들이 쉽게 리스크 플랫폼 기반의 디앱을 만들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체인 프로토콜 및 호환성 업데이트를 지속적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리스크는 향후 리스크 브릿지(Bridge)를 통해 다른 블록체인 생태계와 호환하여 리스크 생태계를 확장해나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디지털 자산 소개
스팀 토큰(STEEM)은 블록체인 SNS 플랫폼인 스팀잇에서 활동에 대한 보상으로 사용됩니다. 스팀잇에서는 콘텐츠 저자와 큐레이터가 자신의 활동에 따라 STEEM을 분배받습니다. STEEM은 예치(Staking)의 용도로도 사용되는데, STEEM을 예치할 시 스팀파워(SP)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이는 콘텐츠 평가 및 큐레이팅에서의 영향력을 나타냅니다. STEEM은 스팀달러(SBD)로 교환하여 가치 안정성을 추구할 수도 있습니다.
기술적 특징
1. 스팀잇은 작업증명(Proof of Work,PoW) 기반의 채굴 방식을 가진 비트코인과는 달리 위임지분증명(Delegated Proof of Stake,DPoS) 방식을 채택하였습니다. 2. 스팀잇 체계는 STEEM, SP, SBD라는 각각의 기능과 역할을 가진 토큰들로 경제 체계가 설계되어 있어 보다 안정적인 운영이 가능합니다. 이와 같은 멀티토큰 구조는 타 디지털 자산 프로젝트들의 벤치마크가 되고 있습니다.
현재와 미래
사물인터넷의 발전으로 소비자들은 장소와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온라인에 접속하여 디지털 콘텐츠를 소비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현재 콘텐츠 사업이 크게 성장하고 있음에 따라 온라인 콘텐츠 시장 또한 지속적인 성장을 보일 것입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스팀잇은 향후 콘텐츠 제작과 큐레이팅에 대한 보상체계 확립을 바탕으로 더욱 안정적인 사업을 영위해 나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디지털 자산 소개
스텔라루멘은 리플에서 하드포크(Hard Fork)되어 나온 국제 송금용 블록체인 오픈 소스 프로토콜임과 동시에, 프로토콜에 사용되는 디지털 자산(XLM)입니다. 스텔라루멘은 금융 접근성이 낮은 개발도상국의 금융시스템 개발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스텔라루멘을 사용하면 매우 빠른 속도로 트랜잭션을 처리할 수 있고 비교적 낮은 수수료가 요구됩니다.
기술적 특징
1. 스텔라루멘은 자체적인 합의 알고리즘으로 스텔라 합의 프로토콜(Stellar Consensus Protocol, SCP)을 사용합니다.. 이 알고리즘은 채굴보다는 합의에 더 초점이 맞추어져 있기 때문에 트랜잭션에 소모되는 시간을 줄여주고 수수료를 절감할 수 있습니다. 2. 스텔라루멘의 네트워크는 스텔라루멘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중앙 스텔라 코어에 연결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현재와 미래
스텔라루멘은 2021년 기준 AMM(Automated Market Maker)를 도입하고 CBDC(Central Bank Digital Currency) 발행의 기반이 되는 등 기술 업데이트를 통하여 안정적인 서비스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향후 스텔라루멘은 브릿지(Bridge)를 구축하고 레이어-2 솔루션을 도입하여 타 체인들과 호환가능한 확장성 있는 프로토콜을 만들어 사용처를 늘려 나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디지털 자산 소개
아더는 오픈소스 멀티 체인 BaaS(Blockchain as a Service) 플랫폼으로, NXT기반 블록체인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개발했습니다. 아더 토큰(ARDR)은 아더 네트워크의 메인 체인 토큰으로, 아더 네트워크에서 새로운 블록 생성 및 네트워크 합의를 위한 거버넌스와 거래 수수료 지불의 용도로 사용됩니다.
기술적 특징
1. 아더 플랫폼은 메인-사이드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합니다. 전체 네트워크 보안은 아더 메인 체인에 의해 제공되고, 다른 모든 기능은 사이드 체인들에 배치됩니다. 모든 사이드 체인은 고유한 가치를 지니며 체인들 간의 상호 운용성을 보장하고, 불필요한 사이드 체인 데이터는 제거되어 확장성이 보완됩니다. 2. 시간으로 증명된 NXT의 지분증명(Proof of Stake, PoS) 알고리즘을 이용하기 때문에 아더 플랫폼은 에너지 효율적이면서도 안전할 뿐만 아니라 네트워크 보안을 위한 필요한 컴퓨팅 파워가 낮습니다.
현재와 미래
아더 플랫폼의 하이브리드 솔루션은 KYC(Know Your Customer), 계정 확인 등의 민감한 정보처리와 프로세스의 투명성이 필요한 기업들에 의해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습니다. 향후 아더는 앱 개발 프로세스 가속화에 특화된 맞춤형 사이드 체인을 통해 기부, 교육, 공급망 관리, 신원확인증명, 환경, NFT와 메타버스 등의 분야에서 다양한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여 생태계를 확장해 나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디지털 자산 소개
아크는 사용자들에 의해 프로그래밍 가능한 플랫폼입니다. 아크 플랫폼을 통해 사용자들은 자신들의 비즈니스 모델에 맞게 커스터마이징하여 사이드 체인을 쉽게 배포할 수 있습니다. 모든 사이드 체인은 아크 메인넷으로 다시 연결됩니다. 아크 토큰(ARK)은 플랫폼 내 지불 수단으로 사용됩니다.
기술적 특징
1. 아크는 위임지분증명(Delegated Proof of Stake,DPoS)을 합의 알고리즘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51명의 블록 생성자를 선출하여 8초마다 블록을 생성합니다. 2. 아크의 스마트 브릿지(Bridge) 기술은 여러 블록체인을 연결함으로써 서로 다른 생태계간의 결합을 만들어냅니다.
현재와 미래
아크의 주요 목표는 모든 사용자에게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쉽게 생성, 사용자 맞춤 제작 및 확장성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빠른 보안 기술 및 실제 이용자들을 위한 실용적인 서비스라는 두 가지 중요한 영역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소비자의 선택지를 증가시키고자 합니다. 혁신적인 네트워크 디자인을 확장 가능한 소프트웨어와 결합함으로써, 아크 생태계는 개발자의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이렇듯 아크 코인은 대량 채택을 목표로 설계된 자바 기반의 플랫폼으로, 소비자가 원하는 서비스와 개발자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려 노력하고 있습니다.
디지털 자산 소개
스토리지는 탈중앙화 분산형 클라우드 플랫폼입니다. 사용자는 다른 사용자의 하드디스크의 여유 저장 공간을 활용하여 파일을 저장하고 열람할 수 있습니다. 스토리지 토큰(STORJ)은 이더리움 네트워크 기반의 ERC-20 토큰으로 스토리지 플랫폼 저장 서비스의 지불 수단 및 보상수단으로 사용됩니다.
기술적 특징
1. 스토리지는 샤딩 기술을 활용하여 파일을 여러 부분으로 쪼개고 암호화하여 이를 분산형 저장소에 저장합니다. 2. 스토리지 플랫폼에 저장공간을 제공하는 노드(Node) 운영자는 네트워크 용량과 처리 속도에 기여하는 정도에 따라 보상을 받게 됩니다.
현재와 미래
기존의 클라우드 모델은 중앙화로 인한 신뢰성의 문제가 발생하는데, 스토리지와 같은 분산형 클라우드 서비스는 이러한 문제에 대한 솔루션으로 주목 받고 있습니다. 스토리지 플랫폼을 활용하면 데이터 장애 및 중단의 위협을 줄이는 동시에 보안, 읽기 성능 및 개인정보 보호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전세계적으로 데이터 저장 공간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스토리지 플랫폼은 안정적인 기술 개발을 통해 서비스의 활용도를 향상시킬 것으로 예상됩니다.
디지털 자산 소개
그로스톨코인(GRS)은 블록 내의 거래 데이터에서 서명 데이터만 따로 분리해내는 세그윗(Segwit) 활성화를 통해 거래처리 및 송금 속도를 높여 더욱 효과적인 전자 결제를 가능하게 하는 디지털 자산입니다. GRS는 거래시 중앙기관의 통제로부터 벗어나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거래 수수료를 0으로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기술적 특징
1. GRS는 블록 내의 거래 데이터에서 서명 데이터만 따로 분리해내는 세그윗 활성화를 통해 비트코인 대비 더 많은 거래처리가 가능합니다. 또한 GPU와 CPU에서도 작업증명방식(Proof of Work,PoW)의 채굴이 가능하기 때문에 개인들이 낮은 수준의 전력으로 효율적으로 GRS 채굴을 할 수 있습니다. 2. GRS는 P2P(Peer to Peer) 모델의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에서 작동하기 때문에 거래 시 중간 매개체가 필요하지 않고, 오픈레저(Open Ledger)에 모든 거래가 기록되고 노드들에 의해 증명됩니다.
현재와 미래
그로스톨은 현재 3개월마다 새로운 개발 업데이트 사항들을 사용자들에게 공개하고, 다양한 버전의 지갑을 출시하는 동시에 저렴한 수수료를 가능하게하여 사용자들이 GRS를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향후 비트코인 네트워크의 수정사항들을 도입하거나 추가적인 업데이트를 지속적으로 진행하여 사용자들이 더욱 편리한 결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디지털 자산 소개
어거는 높은 정확성의 실시간 예측 데이터를 도출하는 시장예측 플랫폼 프로젝트입니다. 어거 토큰(REP)은 예측 이벤트를 개최할 때 수수료로 사용되며 예측을 올바르게 한 사용자들에게 보상으로 지급됩니다.
기술적 특징
1. 어거 노드(Node)는 어거와 관련된 이벤트 로그(Log)들을 위한 이더리움 블록체인을 스캔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후 각각의 데이터를 어거 UI(User Interfece)로 보냅니다. 사용자들은 어거의 UI를 통해 이더리움 블록체인 상 어거 스마트 컨트랙트 프로토톨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2. REP 보유자들은 이벤트를 개최할 수 있으며, 이벤트에서 일어날 수 있는 결과들 중 한 가지에 자신의 REP를 예치한 후 해당 결과가 맞으면 REP 거래 수수료를 수령할 수 있게 됩니다.
현재와 미래
어거는 이더리움 블록체인의 초기 플랫폼으로서 지속적인 업데이트를 통해 예측 시장에서 현재까지 가장 주목받는 프로젝트입니다. 향후 어거 플랫폼은 레이어-2와의 통합을 통해 더 적은 거래비용으로 빠른 서비스를 제공하고, 밸런서(Balancer) v2와의 통합을 통해 더 많은 디지털 자산이 REP와 교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더욱 효율적인 예측시장 플랫폼으로 성장해 나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디지털 자산 소개
카르다노는 오픈소스 기반의 스마트 컨트랙트 플랫폼으로 모든 개발 과정은 학술 연구를 기반으로 하며, 전세계의 국가기관, 기업, 개인이 일상에서 빠르고 쉽게 이용할 수 있는 블록체인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에이다 토큰(ADA)는 카르다노 네트워크 위에서 수수료 지불이나 예치(Staking), 거버넌스 투표의 용도로 사용됩니다.
기술적 특징
1. 에이다의 발행처인 카르다노는 우로보로스(Ouroboros) 지분증명(Proof of Stake, PoS) 알고리즘을 사용합니다. 해당 알고리즘 하에서는 소수에 의한 지분 독점을 막기 위해 임의로 대표를 선출합니다. 2. ADA는 높은 안전성으로 유명한 함수형 언어 하스켈(Haskell) 기반입니다. 그에 따라 에이다는 보안성을 갖춘 것은 물론, 확정성 역시 뛰어나 많은 이용자가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여러 체인을 병렬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뛰어난 확장성과 탈중앙화 수준을 가지며 안전하고 효율적인 의사결정이 가능합니다.
현재와 미래
카르다노는 지속적인 개발을 거듭하고 있는 프로젝트 중 하나로서 확장성, 상호 운용성, 지속가능성을 갖춘 블록체인 생태계를 지향하고 있습니다. 지속적인 메인넷 개발을 통해 향후 카르다노 생태계를 확장해나갈 것이라고 예상됩니다.
디지털 자산 소개
스팀달러(SBD)는 스팀잇에서 스팀(STEEM)의 화폐적 가치와 유동성을 보존하기 위해 발행된 디지털 자산입니다. 스팀잇은 블록체인 기반의 SNS플랫폼으로 업로드 한 콘텐츠를 평가할 수 있으며 평가에 따라 보상으로 STEEM을 지급합니다. SBD는 STEEM의 가치가 변동하더라도 사용자에 대한 보상의 가치는 변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1USD의 STEEM의 가치를 추종하는 알고리즘으로 만들어진 스테이블 코인입니다.
기술적 특징
1. 스팀잇은 작업증명(Proof of Work,PoW) 기반의 채굴 방식을 가진 비트코인과는 달리 위임지분증명(Delegated Proof of Stake,DPoS) 방식을 채택하였습니다. 2. 스팀잇 체계는 STEEM, 스팀파워(SP), SBD라는 각각의 기능과 역할을 가진 토큰들로 경제 체계가 설계되어 있어 보다 안정적인 운영이 가능합니다. 이와 같은 멀티토큰 생태계 아키텍처는 후속 디지털 자산 프로젝트들의 벤치마크가 되고 있습니다.
현재와 미래
인터넷의 발전으로 소비자들은 장소와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온라인에 접속하여 디지털 콘텐츠를 소비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현재 콘텐츠 사업이 크게 성장하고 있음에 따라 온라인 콘텐츠 시장 또한 지속적인 성장을 보일 것입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스팀잇은 향후 콘텐츠 제작과 큐레이팅에 대한 보상체계 확립을 바탕으로 더욱 안정적인 사업을 영위해 나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디지털 자산 소개
파워렛저는 에너지 및 환경 관련 상품의 P2P(Peer to Peer) 거래가 가능한 블록체인 플랫폼을 운영하는 프로젝트입니다. 개인 간 거래를 가능하게 하여 새로운 에너지 시장을 형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파워렛저 토큰(POWR)은 파워렛저 플랫폼의 이용 권한, 거버넌스 및 보상의 용도로 사용됩니다.
기술적 특징
1. 파워렛저 플랫폼은 POWR와 Sparkz 토큰을 동시에 사용하는 듀얼 토큰 생태계(Dual-token ecosystem)에 기반하고 있으며, POWR는 파워렛저 에너지 거래에 사용되는 실제 토큰인 Sparkz 토큰으로 교환가능합니다. 2. 에너지의 지속가능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파워렛저는 하이브리드 퍼블릭(Hybrid Public) 및 컨소시엄 블록체인(Consortium Blockchain)방식을 채택했습니다. 이를 통해 작업증명으로부터 발생하는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현재와 미래
파워렛저는 2016년 세계 최초의 에너지 블록체인 기업들 중 하나로 설립되어 블록체인 기반 에너지 플랫폼의 발전에 기여해왔습니다. 파워렛저의 기술은 에너지의 추적 및 거래를 실시간으로 가능하게 하며, 이는 향후 안정적이며 지속가능한 에너지 시스템 형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디지털 자산 소개
비트코인골드(BTG)는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프로젝트로서 비트코인(BTC)의 하드포크를 통해 출시된 디지털 자산입니다. BTC를 보유하고 있던 사용자들은 같은 양의 BTG를 추가로 받았으며, 이러한 방식으로 기존 비트코인의 채굴량만큼 배포되었습니다.
기술적 특징
1. BTG는 메모리 집약적인 Equihash 알고리즘을 사용해, ASIC채굴(Mining)이 불가능하도록 하고 GPU와 같은 일반적인 장비를 가진 소규모 채굴자에게 이익이 공유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BTG가 제시한 난이도 조정 알고리즘인 LWMA 역시 블록체인이 해시파워(hash power)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도록 블록타임을 안정적으로 만들어 주어 이러한 목적 달성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2. BTG는 BTC와 마찬가지로 지불 및 가치 저장의 매개체로써 사용되기를 목표로 하며, 추가적으로 BGTPay 결제 솔루션을 지원합니다.
현재와 미래
BTG는 비트코인의 작업증명 알고리즘을 SHA-256에서 Equihash로 바꿈으로써 전 세계의 수많은 사람들이 채굴 프로세스에 참여할 기회를 제공합니다.BTG는 보다 분권화되고 민주적인 채굴 인프라를 제공하기 위한 업데이트를 지속적으로 진행해나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디지털 자산 소개
아이콘은 디지털 자산과 실생활의 연결, 초 연결 사회를 향한 진보를 목표로 삼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입니다. 아이콘은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개별 블록체인 네트워크들을 연결하고, 그 사이의 트랜잭션을 지원하여 서로 다른 블록 체인이 데이터를 원활하게 공유 할 수있는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플랫폼을 제공합니다. 아이콘 코인(ICX)은 아이콘 네트워크의 네이티브 토큰(Native Token)입니다.
기술적 특징
1. 아이콘은 루프 장애 허용(Loop Fault Tolerance) 합의 알고리즘을 사용합니다. 이는 기존 비잔틴 장애 허용(Byzantine Fault Tolerant,BFT)을 발전시킨 것으로 복수의 노드들은 하나의 그룹으로 묶여 더 빠른 합의를 이루어낼 수 있습니다. 2. 아이콘은 스코어 프로토콜(Smart Contract On Reliable Environment Protocol, SCORE)에 기반을 둔 루프체인(Loop chain)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현재와 미래
아이콘은 분리되어 있는 커뮤니티들을 서로 연결함으로써 새로운 블록체인 생태계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아이콘을 통해 거버넌스 구조가 다른 여러 블록체인 네트워크들이 서로 간의 트랜잭션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유저들은 편리하게 새로운 블록체인 프로젝트들을 만들고 해당 생태계에 참여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디지털 자산 소개
이오스는 스마트 컨트랙트 작성과 디앱(DApp) 개발을 지원하는 오픈소스 프로토콜로서 소프트웨어 개발회사인 Block.one에서 만들었습니다. 이더리움의 느린 처리속도와 높은 수수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프로젝트로서, 이오스는 초당 수천 건의 거래를 유저 수수료 없이 처리할 수 있습니다. 이오스 코인(EOS)은 이오스 네트워크의 네이티브 토큰(Native Token)입니다.
기술적 특징
1. 이오스는 합의 알고리즘으로 위임 지분증명 방식(Delegated Proof of Stake, DPoS)을 사용하며, 21명의 위임자들이 거래를 검증하므로 보다 더 빠르게 거래를 처리할 수 있습니다. 2. 이오스는 RAM, CPU, Network bandwidth라는 리소스 모델(Resourse model)을 가지고 있으며, EOS 예치(staking)를 통해 접근을 할 수 있습니다.
현재와 미래
이오스는 오픈소스 프로젝트로서 누구나 이오스 블록체인 오픈소스를 이용하여 새로운 블록체인 플랫폼을 만들 수 있고, 지금까지 이오스를 하드포크한 다양한 블록체인 플랫폼들이 탄생하였습니다. 이오스는 블록체인의 새로운 오픈소스 플랫폼으로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빠른 거래 처리와 제로 유저 수수료를 바탕으로 생태계를 더 확장해 나갈 것으로 기대됩니다.
디지털 자산 소개
트론(Tron)은 엔터테인먼트 산업 시스템을 위한 블록체인 플랫폼으로 디앱(DApp)을 개발하고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는 인프라를 제공합니다. 트론의 궁극적인 목표는 중앙화된 주체없이 사용자와 개발자, 광고주들 간 직접적인 콘텐츠 거래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트론 토큰(TRX)은 트론 네트워크의 네이티브 토큰으로 결제 및 보상 수단, 트론 디앱들이 작동하는데 필요한 연료의 용도로 사용됩니다.
기술적 특징
1. 트론은 이더리움 블록체인에서 독립, 자체적인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높은 수준의 거래처리 속도를 확보하였습니다. 동시에 기존 이더리움과는 달리 위임지분증명(Delegated Proof of Stake, DPoS)을 합의 알고리즘으로 채택하였습니다. 2. 트론 네트워크에서 디앱을 만들 수 있도록 트론 가상머신(Tron Virtual Machine)을 만들었습니다. 트론 가상머신은 가상 메모리 매커니즘을 통해 메모리 사용량을 대폭 감소시키고, 메모리, CPU 등 컴퓨터 기초 개념 없이도 누구나 쉽게 디앱 개발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현재와 미래
트론은 현재 여러 기업들과 결제 파트너쉽을 맺고, 메인넷을 꾸준히 개발하는 등 트론 생태계를 지속적으로 구축해 나가고 있습니다. 향후 트론은 다양한 디앱들을 생태계 내에 유치하여 탈중앙화 미디어 플랫폼으로 위상을 높일 것으로 기대됩니다.
디지털 자산 소개
시아는 공유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블록체인 플랫폼입니다. 시아코인(SC)은 시아 플랫폼에서 사용하는 스테이킹 토큰입니다. 남는 저장 용량을 공유하여 여분의 저장용량이 필요한 사람에게 제공하면, 공유한 사람은 대여에 대한 대가로 SC를 지급받게 됩니다.
기술적 특징
1. 시아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는 저장 공간을 공유자로부터 직접 대여하는 방식이 아닌 네트워크에 공유되어 있는 클라우드의 일부분을 대여하는 방식입니다. 즉 토렌트(Torrent)처럼 파일이 여러 공유자들의 저장 매체에 분산되어 저장되는 방식으로, 공유자들은 자신이 공유한 저장매체에 어떤 파일이 저장되는지 알 수 없습니다. 2. SC의 트랜잭션 구조는 비트코인과 유사합니다. 작업증명(Proof of Work, PoW) 채굴방식을 사용하며 추후 양방향 페그(Peg)를 통하여 비트코인과 연결될 예정입니다.
현재와 미래
시아 플랫폼은 현재 시아 클라우드를 통한 동영상 스트리밍의 로딩 시간을 짧게 만들고 메모리 사용성을 증대시켜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해 나가고 있습니다. 향후 시아 플랫폼은 단순한 파일 공유, 계좌이체, 파일 백업 시스템뿐만 아니라 플랫폼 외부와 파일 공유 및 모바일 지갑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플랫폼을 업데이트해 나갈 것으로 전망됩니다.
디지털 자산 소개
온톨로지는 신뢰 기반의 공동 작업을 위한 분산화 플랫폼을 만들고자 하는 프로젝트로, 자체 프레임워크를 통해 디앱(DApp)에 맞춤형 퍼블릭 블록체인들을 제공하고, 프로토콜의 간 협력을 지원하는 분산화 인프라를 제공합니다. 온톨로지 토큰(ONT)은 네트워크 합의 및 거버넌스의 용도로 사용됩니다.
기술적 특징
1. 온톨로지는 지분증명(Proof-of-Stake, PoS), VRF(Virtual Routing and Forwarding), 비잔틴 장애허용(Byzantine Fault Tolerance, BFT)을 결합한 VBFT라는 알고리즘을 사용합니다. 이를 통해 합의 집단의 확장성 향상을 지원하고, 합의생성 과정에서의 공정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2. 온톨로지는 개발 시 공통 모듈과 프로토콜로 사용되는 온톨로지 커먼(Common)과 프로젝트들의 맞춤형 요구를 반영하는 모듈 및 프로토콜인 온톨로지 커스텀(Custom)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를 통해 디앱 개발에 편의성을 제공합니다.
현재와 미래
온톨로지는 신원 증명, 지갑, 신용 및 대출 서비스를 영위하며 자체적인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가고 있습니다. 향후 온톨로지는 다양한 퍼블릭 체인에 탈중앙화 ID기능을 통합하고, NFT나 디파이(DeFi), 탈중앙화 거래소(Decentralized Exchange,DEX) 등 많은 디앱들에 대한 지원을 통하여 온톨로지 생태계를 확대해나갈 것으로 전망됩니다.
디지털 자산 소개
질리카는 기존 블록체인의 확장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샤딩(Sharding) 기술을 도입한 스마트 컨트랙트 플랫폼입니다. 질리카 코인(ZIL)은 질리카 네트워크에서 스마트 컨트랙트를 실행하거나 트랜잭션 시 수수료로 사용됩니다.
기술적 특징
1. 질리카는 프랙티컬 비잔틴 장애 허용(Practical Byzantine Fault Tolerance, PBFT) 합의 알고리즘을 사용합니다. 이를 통해 합의에 필요한 노드의 수가 줄어들어 트랜잭션 처리 속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2. 질리카는 하나의 네트워크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에서 벗어나 데이터를 여러 부분으로 나누어 다수의 네트워크로 데이터 전송을 하는 네트워크 샤딩을 통해 효율적인 트랜잭션을 가능하게 합니다.
현재와 미래
질리카는 샤딩기술을 처음으로 도입한 블록체인 플랫폼으로 현재 타 플랫폼 대비 비교적 빠른 거래 처리 속도를 보이고 있습니다. 질리카는 향후 메인넷 업그레이드를 바탕으로 NFT 플랫폼이나 결제 및 디파이(DeFi) 플랫폼들을 유치하고, 다오(Decentralized Autonomous Organization,DAO)를 통해 커뮤니티도 활성화하여 자체 생태계를 넓혀갈 것으로 전망됩니다.
디지털 자산 소개
폴리매쓰는 주식, 채권, 부동산 등 전통적인 금융자산 및 실물자산을 블록체인으로 관리 및 거래하기 위해 고안된 플랫폼입니다. 폴리매쓰 토큰(POLY)은 플랫폼에서 화폐처럼 사용되어 각종 자산의 거래수단으로 사용됩니다. 폴리매쓰에서는 오직 '화이트리스트'에 등록된 투자자만이 거래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 KYC (Know Your Customer) 사업자에게 신원등록 비용으로 POLY를 지불해야 합니다.
기술적 특징
1. 폴리매쓰는 기존의 데이터베이스 시스템과는 달리 보안 관련 데이터를 따로 저장하여 해킹의 위험을 방지합니다. 2. POLY는 ST-20표준을 사용합니다. ST-20토큰은 기존 ERC-20토큰에 미국증권거래위원회(SEC)가 요구하는 규제사항들을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 포함시킴으로써 관련 규제를 위반하지 않으면서도 블록체인의 장점을 도입할 수 있습니다.
현재와 미래
폴리매쓰는 SEC의 규제를 위반하지 않는 선에서 블록체인의 장점을 살린 솔루션 및 인프라를 제공해왔습니다. 향후 폴리매쓰는 폴리메쉬(Polymesh) 메인넷을 출시하여 기밀 유지, 거버넌스, 결제 등과 관련된 공공 인프라에 블록체인 기술을 도입한 솔루션을 제공하는 등 그 서비스의 범위를 넓혀나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디지털 자산 소개
제로엑스는 이더리움 네트워크 기반의 디지털 자산을 위한 탈중앙화 거래소(Decentralized Exchange,DEX) 플랫폼입니다. 제로엑스 프로토콜을 이용하면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 이더리움 디지털 자산을 P2P(Peer to Peer)로 교환할 수 있습니다. 제로엑스 토큰(ZRX)은 제로엑스 플랫폼 내 거버넌스 권한 부여 및 예치(Staking)의 수단으로 사용됩니다.
기술적 특징
1. 제로엑스 프로토콜에서 주문은 오프체인(Off-Chain)을, 결제는 온체인(On-Chain)을 사용함으로써 블록체인의 블록 생성을 최소화합니다. 2. 제로엑스 프로토콜은 이더리움 네트워크 기반의 ERC-20 토큰과 NFT를 모두 지원합니다. 이를 통해 제로엑스 내에서는 타 거래소보다 다양한 범위의 이더리움 자산들을 거래할 수 있게 됩니다.
현재와 미래
제로엑스는 현재 바이낸스 스마트체인(Binance Smart Chain) 같은 레이어-1 플랫폼에도 서비스를 출시하며 더 많은 사용자들을 유치하는 중입니다. 향후 제로엑스는 다른 레이어-1과 레이어-2 플랫폼에도 자체 프로토콜을 출시하고, 거래 가능한 디지털 자산의 종류를 늘려 생태계를 확장해 나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디지털 자산 소개
룸네트워크는 블록체인 기반의 게임 플랫폼으로서 이더리움 기반의 디앱(DApp)들이 가진 확장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각 디앱별로 서로 다른 사이드 체인을 운영함으로써 메인 체인의 과부하를 줄이고, 대규모의 디앱 개발을 지원합니다. 룸네트워크 토큰(LOOM)은 예치(Staking)나 디앱들을 체인 상에 호스팅하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기술적 특징
1. 룸네트워크의 메인넷인 베이스체인은 위임 지분증명방식(Delegated Proof of Stake, DPoS)의 합의 알고리즘을 사용하며, 이더리움, 트론 네트워크등을 지원하는 멀티체인 플랫폼입니다. 2. 룸네트워크는 Loom SDK(Software Development Kit) 솔루션을 제공함으로써 블록체인에 대해 깊은 이해가 없는 사용자들도 손쉽게 디앱 개발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현재와 미래
룸네트워크는 낮은 수수료와 빠른 트랜잭션 속도를 목표로 함과 동시에 손쉬운 디앱 개발을 가능케 하면서 시장의 관심을 받아왔습니다. 이를 통해 크립토좀비즈(CryptoZombies)를 비롯한 다양한 디앱들이 출시가 되었으며, 앞으로도 대중적인 디앱의 개발을 지원하는 플랫폼으로서 더욱 발전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디지털 자산 소개
비트코인캐시(BCH)는 비트코인(BTC)의 하드포크(Hard Fork)로 파생되어 생성된 새로운 디지털 자산입니다. 일정 블록생성 시점 전 까지 BTC를 보유하고 있던 사용자들은 같은 개수의 BCH를 추가로 받았으며, 이러한 방식으로 기존 BTC의 채굴량만큼 배포되었습니다.
기술적 특징
1. BTC는 모든 블록의 크기가 1MB로 제한되어 있었지만, BCH에서는 블록의 크기를 기존 대비 2배~8배까지 확장하여 거래 검증 속도를 향상시키고 수수료를 낮추고자 하였습니다. 2. 블록의 크기가 확장되어 BTC가 가지고 있던 높은 수수료와 지연시간 문제는 완화되었지만 기하급수적으로 코어의 용량이 늘어나게 되었습니다. 3. BCH는 SHA-256 알고리즘 기반의 작업증명(Proof of Work, PoW) 방식으로 채굴합니다.
현재와 미래
BTC에서 하드포크되어 탄생한 BCH는 BTC의 높은 채굴 난이도를 그대로 가져왔기에 블록 생성이 지연되었고 필요 컴퓨팅 파워 용량이 늘어나 이를 감당할 수 있는 채굴자들만이 남게 되었습니다. 향후 BCH는 소비와 결제에 최적화된 디지털 자산을 목표로 지속적인 업데이트를 진행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디지털 자산 소개
베이직어텐션토큰은 거대하게 발전하고 있는 디지털 광고 시장에서 악성코드 및 개인정보 침해의 위협, 개인 영상에 대한 권리 보장과 그에 따른 보상, 일방적인 광고 수수료 등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광고주들은 베이직어텐션토큰(BAT)을 지불하여 Brave 브라우저에 광고를 게시하고, 사용자들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기술적 특징
1.베이직어텐션토큰은 디파이(DeFi)의 기반이 되는 지갑인 Brave Wallet, 토큰 스왑과 탈중앙화 거래소 모음(DEX Aggregator) 서비스가 가능한 Brave DEX, 광고 시장의 문제를 해결해주는 Themis 등의 서비스들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2. 광고주와 사용자간의 BAT 보상금액을 책정하기 위해 자체 Brave서버 및 Brave브라우저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광고에 관심을 가지는 유저의 익명성을 보장하며 추적합니다.
현재와 미래
베이직어텐션토큰은 브레이브 플랫폼을 통해 광고를 투명하게 제공하고, 사용자는 개인정보가 안전하게 보호되는 네트워크에서 광고를 시청할 수 있습니다. 디지털 광고시장의 확대에 힘입어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플랫폼 개발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디지털 자산 소개
아이오에스티는 확장성과 빠른 트랜잭션 처리 속도에 집중하여 서비스의 인터넷(Internet of services, IOS)를 목표로 삼고 있는 블록체인 프로젝트입니다. 아이오에스티 토큰(IOST)은 아이오에스티 네트워크 내의 모든 트랜잭션 수수료 지불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기술적 특징
1. 아이오에스티는 합의 알고리즘으로 신뢰성증명 방식(Proof of Believability, PoB)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해당 알고리즘 하에서 네트워크 기여도가 높은 노드들의 무작위 추첨을 통해서 유효성 검증을 하며, 이를 통해 검증인 선출과정에서의 중앙화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2. 아이오에스티는 효율분산샤딩(Efficient Distributed Sharding, EDS) 방식을 통해 트랜잭션 속도를 대폭 개선하였습니다. 효율분산샤딩은 거래처리에 필요한 노드들을 그룹화시켜 처리하는 기술로서 높은 확장성과 효율성을 가집니다.
현재와 미래
아이오에스티는 비트코인, 이더리움과 같은 기존의 블록체인이 가진 느린 트랜잭션 처리 속도의 한계를 극복하고, 확장성과 효율성이 확보된 블록체인 네트워크 구축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모든 앱에 적용가능한 보편적인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최종 목표로 삼고 있으며, 이를 위해 접근성이 좋은 광고, 이커머스, SNS 등의 앱 위주로 탈중앙화를 지원하면서 아이오에스티 생태계를 확장해 나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디지털 자산 소개
리퍼리움(Refereum)은 게임개발자, 스트리머, 소비자 간 직접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탈중앙화된 게임 광고 시스템 구축을 목표로 하는 프로젝트입니다.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게임 광고의 중앙화된 주체를 없앰으로써 광고 타겟들에게 성과를 투명하게 분배할 수 있습니다. 리퍼리움 토큰(RFR)은 게임 광고시 수수료로 사용되며 광고 시청에 대한 보상으로 지급됩니다.
기술적 특징
1. RFR은 이더리움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ERC-20 토큰입니다. 이를 통해 참여자는 이더리움의 다양한 클라이언트 및 노드와 상호작용할 수 있습니다. 2. 게임 개발 툴인 유니티(Unity)에서는 리퍼리움 SDK(Software Development Kit)를 제공하여 게임 개발자들의 리퍼리움 접근을 용이하게 합니다.
현재와 미래
리퍼리움은 현재 리퍼리움 플랫폼 내에서 게임 광고 및 스트리밍 시청에 대한 보상을 사용자들에게 배분하고 있습니다. 게임산업의 발전과 함께 향후 리퍼리움 플랫폼 내 스트리머와 시청자들의 수가 많아지고 그 범위가 다양해지면 리퍼리움의 게임광고 생태계 역시 보다 확정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디지털 자산 소개
시빅은 이더리움 블록체인 기반의 디지털 자산 지갑(Non-custodial Wallet)으로 디지털 자산 저장과 신원보증 기능을 지원합니다. 유저들을 시빅 플랫폼을 통해 가상세계에서 자신의 신원을 보증할 수 있으며, 신원 검증자(Identity Validator)에 의해 증명된 유저의 기록은 블록체인에 기록됩니다. 서비스 이용자들이 유저의 신원을 확인하고자할 때, 유저의 동의 하에 해당 정보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시빅 토큰(CVC)은 시빅 생태계 안에서 사용되는 화폐입니다.
기술적 특징
1. 시빅의 사용자들은 운전면허증, 여권 등 개인정보를 암호화하여 블록체인에 저장하고, 공개키를 통해 어떤 정보가 누구에게 제공될지를 제어할 수 있습니다. 2. 시빅 패스(Civic Pass)라는 온체인 솔루션을 활용하여 디앱(DApp)들이 시빅의 KYC, 스크리닝, 봇 방지 등의 기능을 어플리케이션에 통합시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현재와 미래
정보통신의 발달이 고도화됨에 따라 개인의 프라이버시 침해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상황에서 시빅의 개인 데이터 보안 솔루션은 시장의 주목을 받아왔습니다. 시빅은 유저의 개인 데이터를 오직 유저의 모바일 장치에 기록하는데, 이를 통해 개인 데이터에 대한 중앙화된 통제에서 벗어날 수 있습니다. 향후 시빅은 블록체인 기반의 안전한 신원 증명 플랫폼으로 높은 상용성 기반의 서비스 범위를 확장해 나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디지털 자산 소개
에브리피디아는 위키피디아(Wikipedia)의 탈중앙화 버전으로서 2014년에 탄생하였습니다. 위키피디아와 달리 에브리피디아는 다룰 수 있는 주제에 제한이 없으며, 보다 다양한 인용 출처를 활용할 수 있어 유저들의 활발한 참여를 이끌어낼 수 있습니다. 에브리피디아 토큰(IQ)는 에브리피디아의 유틸리티 토큰으로서 IQ를 예치(Staking)함으로써 에브리피디아의 문서 수정 권한을 얻을 수 있습니다.
기술적 특징
1. IQ는 거버넌스 투표를 위한 예치에 사용되며, 해킹 공격으로부터 네트워크를 방어하기 위해 21일의 락업기간이 존재합니다. 2. 탈중앙화되면서도 지속가능한 지식 플랫폼을 유지하기 위해 에브리피디아는 거버넌스 모듈, 토큰 모듈, 문서 모듈로 구성된 3개의 모듈 시스템을 도입하였습니다.
현재와 미래
에브리피디아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모든 이들을 위한 백과사전을 만든다는 목표를 가지고 탄생하였으며, 기존의 중앙화된 웹 백과사전들의 문제들(글 작성 자격 필요, 비 동의 삭제 등)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해왔습니다. 토큰 경제와 탈중앙화 블록체인 시스템을 바탕으로 블록체인 웹 백과사전 생태계를 앞으로도 계속 주도해나갈 것으로 기대됩니다.
디지털 자산 소개
아이오타는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기기 간(Machine to Machine, M2M) 거래 처리를 위한 탱글(Tangle) 네트워크를 운영하는 프로젝트입니다. 각 장치간 마이크로 트랜잭션이 필요한 사물인터넷 산업의 특성상 플랫폼 내 트랜잭션의 단위가 작아 100만 IOTA를 의미하는 메가 아이오타(MIOTA) 단위로 주로 거래됩니다. IOTA는 탱글 네트워크 내 데이터 트랙잭션의 수단으로 사용됩니다.
기술적 특징
1. 아이오타는 블록체인이 아닌 탱글 알고리즘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해당 알고리즘 하에서 모든 거래자들은 이전 거래자 2명의 거래내역을 검증하는데, 이를 통해 빠른 트랜잭션과 확장성을 확보하였으며, 거래 수수료가 없습니다. 2. 아이오타에는 코디네이터(Coordinator)라는 특수 중앙 노드가 존재하며, 코디네이터는 1-2분 마다 트랜잭션을 추가로 검증합니다. 코디네이터의 검증작업은 항상 유효한 것으로 간주되며 제대로 된 트랙잭션만이 확정되도록 하여 네트워크 보안성을 향상시킵니다.
현재와 미래
아이오타는 탱글 알고리즘을 바탕으로 네트워크 참여자가 늘어날수록 거래 처리속도가 빨라지고, 거래 수수료가 없다는 점에서 많은 주목을 받았습니다. 이러한 장점을 바탕으로 빠른 트랜잭션 수단이 필요한 사물인터넷 분야에서 활약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디지털 자산 소개
메인프레임은 디지털 자산을 담보로 대출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입니다. 메인프레임 토큰(MFT)은 거버넌스 제안에 대한 투표, 프로토콜 보상 증대, 추가적인 레버리지 기회에 대한 접근, 풀(pool) 내 담보 요건 완화를 통한 자본 효율성 증진 등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기술적 특징
1. 메인프레임은 고정 금리 대출 서비스를 위한 통합된 AMM(Automated Market Maker)을 도입하여 보다 효율적인 대출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2. 메인프레임의 대출자는 담보를 맡기고 고정 금리, 고정 상환 기간으로 토큰을 발행받습니다. 발행된 토큰은 즉각적인 유동성을 제공하기 때문에 이를 활용하여 이자를 얻거나, 다른 트레이딩 전략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
현재와 미래
현재 메인프레임은 담보자산을 통한 대출 사업을 위해 Sablier 프로토콜을 인수하며 생태계를 확장 중입니다. 향후 메인프레임은 NFT를 포함한 다양한 자산에 대한 담보 대출을 제공할 계획이며, 메타버스계의 은행을 목표로 프로젝트 생태계를 구축해 나갈 것으로 전망됩니다.
디지털 자산 소개
온톨로지는 신뢰 기반의 공동 작업을 위한 분산화 플랫폼을 지향하는 프로젝트로, 자체 프레임워크를 통해 각 디앱(DApp)마다 맞춤형 퍼블릭 블록체인을 제공하며, 프로토콜 간 호환성을 지원하는 분산화 인프라를 제공합니다. 온톨로지 가스(ONG)는 네트워크 거래 시 수수료로 사용됩니다.
기술적 특징
1. 온톨로지는 지분증명(Proof-of-Stake, PoS), VRF(Virtual Routing and Forwarding), 비잔틴 장애허용(Byzantine Fault Tolerance, BFT)을 결합한 VBFT라는 알고리즘을 사용합니다. 이를 통해 합의 집단의 확장성 향상을 지원하고, 합의생성 과정에서의 공정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2. 온톨로지는 개발 시 공통 모듈과 프로토콜로 사용되는 온톨로지 커먼(Common)과 프로젝트들의 맞춤형 요구를 반영하는 모듈 및 프로토콜인 온톨로지 커스텀(Custom)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를 통해 디앱 개발에 편의성을 제공합니다.
현재와 미래
온톨로지는 신원 증명, 신용 평가 및 대출 서비스를 영위하며 자체적인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가고 있습니다. 향후 온톨로지는 다양한 퍼블릭 체인에 탈중앙화 ID기능을 통합하고, NFT 플랫폼이나 디파이(DeFi), 탈중앙화 거래소(Decentralized Exchange,DEX) 등 많은 디앱들에 대한 지원을 통하여 온톨로지 생태계를 확대해나갈 것으로 전망됩니다.
디지털 자산 소개
가스(GAS)는 NEO와 함께 네오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두가지 토큰 중 하나로서 네오 블록체인 상의 스마트 컨트랙트 기능 구현과 작동의 수수료 및 인센티브의 용도로 사용됩니다. GAS는 한정된 공급량을 가지고 있으며, NEO 보유량에 비례하여 노드들에게 분배됩니다.
기술적 특징
1. 네오 플랫폼에서 스마트 컨트랙트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 최소로 요구되는 GAS 수준이 있으며, 이보다 낮은 수수료를 지불할 경우 거래순위가 낮아지는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2. 초기에는 블록당 5개의 GAS가 생성되며, 4,400만 개의 블록 생성 이후 더이상의 GAS는 생성되지 않습니다. GAS 생성 종료 시점은 2040년 경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현재와 미래
네오 플랫폼에서 수많은 디앱(DApp)들이 탄생하고 있으며, 개발자들과 사용자들을 위한 커뮤니티 역시 활성화되고 있습니다. 네오 플랫폼은 거래 처리량을 획기적으로 늘리기 위한 계획을 실행하고 있으며, 네오 탈중앙화 거래소(Decentralized Exchange, DEX) 출범을 준비 중에 있습니다. 이를 위해 거래 처리속도 개선, 상호운용성 확보, 토큰 가치의 안정성 등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디지털 자산 소개
센티넬 프로토콜은 디지털 자산 보안 프로젝트입니다. 사이버 보안전문가들의 집단지성 방식으로 해킹, 스팸, 사기 건에 대한 선제적인 방어 기능을 제공합니다. 센티넬프로토콜 토큰(UPP)은 센티넬 프로토콜에 기여한 개인 및 기업에게 제공하는 인센티브의 용도로 사용됩니다.
관련 뉴스
기술적 특징
1. 센티넬 프로토콜은 집단지성을 이용하여, 다수의 보안 전문가들의 검증을 통한 보안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2. 센티넬 프로토콜은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통해 사이버 범죄에 대한 수사 결과를 수집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와 블록체인에 기록합니다. 또한 기록되어있는 범죄 기록에 의거하여 향후 발생할 수 있는 사이버 공격을 예측하고 사전에 방어할 수 있도록 합니다.
현재와 미래
보안에 대한 선제적인 대응에 머신러닝을 활용하는 것은 효과적이지만, 머신러닝 알고리즘은 확률에 따른 판단을 근거로 하기 때문에 보안 위협 식별에 한계가 있습니다. 센티넬프로토콜의 블록체인을 활용한 집단 지성은 이 한계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향후 센티넬 프로토콜의 기술이 디지털 자산 거래소 등에 적용된다면 높은 수준의 보안성을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디지털 자산 소개
엘프는 멀티체인(Multi-chain) 병렬처리(Parallel-processing) 크로스체인 커뮤니케이션(Cross-chain communication) 분산 클라우드 컴퓨팅 네트워크입니다. 엘프 토큰(ELF)는 거버넌스 참여, 예치(staking), 수수료 지불 등에 사용됩니다.
기술적 특징
1. 엘프 네트워크는 위임 지분증명(Delegated Proof of Stake, DPoS) 합의 알고리즘을 사용합니다. 이를 통해 ELF 보유자들은 자신의 지분을 타인에게 양도할 수 있습니다. 2. 엘프 네트워크를 통해 복잡한 스마트 컨트랙트를 보다 신속하게 작성하고 이행할 수 있으며, 스마트 컨트랙트 작동 과정에서 정체를 줄이기 위해 엘프 자체의 고유한 리소스가 제공됩니다.
현재와 미래
엘프는 상업적 목적의 맞춤형 OS를 제공하는 "블록체인계의 리눅스"를 희망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상업적 니즈에 맞는 블록체인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하여 엘프는 효율적인 멀티체인 병렬처리 시스템, 크로스체인 커뮤니케이션과 자율 거버넌스 등에 대한 투자를 지속해 나갈 것으로 기대됩니다.
디지털 자산 소개
카이버네트워크는 탈중앙화 거래소(Decentralized Exchange, DEX) 기능을 구현하여 신용 검증 없는 탈중앙 환전과 결제 서비스를 목표로 하는 프로젝트입니다. 이용자와 기업은 안정적으로 디지털 자산 및 토큰을 교환할 수 있으며, 개발자들은 카이버네트워크의 프로토콜을 활용하여 즉각적인 토큰 교환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앱(DApp)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카이버 네트워크 크리스탈(KNC)은 카이버네트워크의 네이티브 토큰으로 수수료나 거버넌스 권한의 용도로 사용됩니다.
기술적 특징
1. 카이버네트워크는 사용자들의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토큰 스왑, 이자 지급 등의 디파이(DeFi) 매커니즘을 바탕으로 디지털 자산의 유동성을 공급합니다. 2. 카이버네트워크는 KNC 보유자들에게 인센티브 시스템 결정에 주도적인 역할을 부여하여, 네트워크 상의 수익을 보유자들에게 분배하고자 합니다.
현재와 미래
카이버네트워크는 현재 디앱 생태계 전체에 필요한 유동성을 제공하기 위해 관련 인프라를 조성하고 있으며, 블록체인 기반의 앱들이 기존의 고유 프로토콜과 쉽게 통합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프로젝트에 따르면 향후 카이버네트워크는 누구나 디지털 자산을 쉽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업데이트를 진행해나갈 것으로 전망됩니다.
디지털 자산 소개
비트코인에스브이(BSV)는 비트코인캐시(BCH)의 하드포크(Hard Fork)로 탄생하였습니다. 비트코인의 근본적 철학을 지지하는 Bitcoin SV 커뮤니티로부터 시작되었으며, 비트코인캐시의 확장성 기능이 충분하지 않다고 합의 하에 보다 높은 블록 크기를 고안해 트랜잭션 효율 개선을 꾀했습니다.
기술적 특징
1. BSV는 기존의 블록 크기를 32MB에서 128MB로 개선하여 확장성을 높이고 수수료를 낮추었으며 트랜잭션 속도를 향상시켜 보다 효율적인 트랜잭션이 가능합니다, 2. 최초 비트코인에서 비활성화 되었던 4개의 사토시 작업코드(Satoshi Opcode)를 활성화함으로써 비트코인 본연의 디자인을 유지하도록 설계하였습니다.
현재와 미래
BSV는 비트코인 프로토콜을 개선하여 전 세계의 비즈니스 및 개발팀이 비트코인에스브이 블록체인 위에 스마트계약, 아토믹스왑 등 다양한 솔루션을 만들어낼 수 있도록 자원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또한, 엄격한 품질 보증을 통해 국제 통화에 준하는 보안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합니다.
디지털 자산 소개
쎄타는 탈중앙화된 스트리밍을 지원하기 위한 프로젝트로서 사용자들이 P2P(Peer to Peer) 방식으로 컴퓨팅 자원과 대역폭을 공유할 수 있는 탈중앙화된 메인넷을 운영합니다. 쎄타 네트워크를 통해 스트리밍 플랫폼들은 콘텐츠 전송 비용을 절감함으로써 더 많은 수익을 창출할 수 있습니다. 쎄타토큰(THETA)은 쎄타 네트워크의 거버넌스 토큰으로서 예치(Staking)의 용도로 사용됩니다.
기술적 특징
1. 쎄타의 멀티 비잔틴 장애허용(Byzantine Fault Tolerance, BFT) 합의 프로세스는 엔터프라이즈 검증자(Validator) 노드들과 수천 개의 레이어-2 커뮤니티 기반 가디언 노드들로 이루어져있습니다. 검증자 노드들은 체인 내 새로운 블록들을 형성하고, 가디언 노드들은 악의적이거나 비활성화된 검증자 노드들을 체크하고 블록을 닫는 역할을 합니다 2. 쎄타는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 쎄타 엣지 노드들을 운영하여 네트워크를 형성합니다.
현재와 미래
쎄타는 현재 메인넷 3.0을 출시하고, 탈중앙화된 비디오 및 데이터 딜리버리 네트워크를 위한 엘리트 엣지 노드들을 도입하는 등 꾸준히 사용자들에게 개선된 서비스를 제공해 오고 있습니다. 향후 쎄타는 탈중앙화 데이터 스트리밍, 딜리버리 네트워크, 엣지 네트워크, NFT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기술 등에 대한 자체 특허를 기반으로 서비스를 확장해 나갈 예정입니다.
디지털 자산 소개
쿼크체인은 블록체인 트릴레마(Trilemma) 중 하나인 확장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안되었으며, 이를 통해 P2P(Peer to Peer) 거래 시스템을 운영하는 프로젝트입니다. 쿼크체인 토큰(QKC)은 쿼크체인 네트워크 내에서 가치저장수단, 지불수단, 인센티브의 용도로 사용됩니다.
기술적 특징
1. 쿼크체인은 두 개의 레이어로 구분되어 있으며, 첫 번째 레이어는 샤딩체인, 두 번째 레이어는 루트체인입니다. 샤딩체인은 거래에 사용되며, 루트체인은 분할된 거래를 확인하는 데 사용됩니다. 2. 쿼크체인은 보손(Boson) 합의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루트체인과 샤딩체인은 작업증명(Proof of Work, PoW)을 주요 합의 알고리즘으로 사용합니다. 이를 통해 쿼크체인은 보안성, 탈중앙화, 확장성이 뛰어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현재와 미래
쿼크체인은 현재 데이터, 정보시스템, 금융 서비스, 엔터테인먼트, 디앱(DApp) 플랫폼 등 다양한 분야에서 70개가 넘는 프로젝트들과 파트너십을 맺고 시스템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향후 쿼크체인은 네이티브(Native) 토큰이 포함된 새로운 메인넷을 개발하고 예치(Staking)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파이(DeFi) 상품을 출시하는 등 점차 쿼크체인 생태계를 넓혀나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디지털 자산 소개
비트토렌트 토큰(BTT)은 파일 공유 시스템 '비트토렌트(BitTorrent)'에서 사용자들에게 파일 공유에 대한 유인을 제공하고 보상을 제공하기 위해 만들어진 트론 플랫폼 기반의 디지털 자산입니다. 유저들은 희소성 높은 자료의 시드를 유지할 때마다 더욱 큰 보상을 받게 되며 이를 통해 원활한 시드 유지가 가능해집니다.
기술적 특징
1. BTT는 트론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TRC-20 토큰이며, 비트토렌트 네트워크 상에서 네트워킹, 속도, 저장자원 등을 위한 토큰 기반 생태계를 구축합니다. 2. 비트토렌트는 비트토렌트 스피드, 비트토렌트 파일시스템, Dlive 등의 디앱(DApp)을 지원하고 있으며 더 많은 서비스들이 개발 단계에 있습니다.
현재와 미래
비트토렌트는 사용자 수 기준 세계에서 가장 큰 탈중앙화 파일 공유 프로토콜 중 하나입니다. 기존에는 파일을 다운로드 완료한 이후에 시드를 계속 유지할 유인이 존재하지 않았지만, BTT를 보상으로 제공함으로써 기존보다 더 빠르고 다양하게 파일들을 공유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프로젝트에 따르면, 비트토렌트는 향후 게임, 엔터테인먼트, 미디어 콘텐츠 분야로도 커뮤니티를 확장해나갈 예정입니다.
디지털 자산 소개
모스랜드는 현실과 가상 세계를 잇는 가상 부동산 중심의 블록체인 기반 메타버스 프로젝트로, 새롭게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 없이 가상 부동산 관련 게임 환경 개발을 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모스코인(MOC)은 모스랜드 내 NFT 구매와 거래, P2E(Play to Earn) 게임의 보상, 디지털 자산과 현실 상품의 교환 목적으로 활용됩니다.
기술적 특징
1. 위치기반의 AR 모바일 게임으로써 자신 위치를 알리고 타인의 위치를 알아내는 체크인 서비스와 증강현실 서비스를 접목하여 게임화의 깊이를 더했습니다. Moss Frame이라는 AR SDK(Software Development Kit)를 제작 배포하여 높은 수준의 AR 기술이 없는 개발자들도 쉽게 모스랜드의 가상 세계를 렌더링 할 수 있습니다.
현재와 미래
모스랜드는 가상 부동산을 시작으로 총 6개의 게임 및 엔터테인먼트 서비스를 출시하며 자체적인 메타버스 생태계를 만들왔습니다. 이와 동시에 블록체인 게임 잼을 주최하여 여러 게임 개발자들을 지원해왔으며, 프로젝트에 따르면 약 130만 개의 모스코인을 커뮤니티에 인센티브로 지급하여 지속 가능한 커뮤니티 형성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모스랜드는 향후 스포츠 엔터테인먼트 시장으로도 프로젝트의 범위를 확장할 것입니다.
디지털 자산 소개
엔진은 싱가포르의 기술 회사로서 블록체인 게임 개발자들을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게임 커뮤니티 형성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엔진코인(ENJ)는 이더리움 기반의 디지털 자산으로서 게임아이템 거래를 위한 디지털 자산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기술적 특징
1. 엔진은 자체적인 API인 JSON-RPC를 서비스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모든 사람들은 엔진의 데이터를 관리하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2. 개발자들은 ENJ를 담보로 한 게임자산을 만들어 NFT화할 수 있으며, 해당 NFT 자산을 소각하고 이에 상응하는 ENJ로 상환받을 수도 있습니다. 사용자들이 NFT 게임자산들을 많이 보유할수록 ENJ의 유통량은 감소함으로 ENJ의 가치는 상승합니다.
현재와 미래
엔진 플랫폼을 통해서 개인들은 NFT 자산들을 거래할 수 있으며, 현재까지 수많은 유저들이 엔진 지갑을 다운로드하였고, 수많은 프로젝트가 탄생했습니다. 엔진의 네트워크 서비스는 앞으로도 게이머들을 위한 웹사이트, 포럼, 앱 형성을 위한 기반 등으로 폭넓게 사용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디지털 자산 소개
쎄타는 탈중앙화 된 스트리밍을 지원해주기 위한 프로젝트로, 사용자들이 P2P(Peer to Peer) 방식으로 컴퓨팅 자원과 대역폭을 공유할 수 있게 하는 탈중앙화 플랫폼을 운영합니다. 쎄타 네트워크를 통해 스트리밍 플랫폼들은 콘텐츠 전송 비용을 절감하여 더 많은 수익을 창출할 수 있습니다. 쎄타퓨엘(TFUEL)은 쎄타 네트워크 내 블록 생성 및 데이터 저장 시 수수료로 사용됩니다.
기술적 특징
1. 쎄타는 비디오 시청자들의 여유 저장 용량을 공유함으로써 탈중앙화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2. 보안성을 위해 쎄타는 Guardian Node On-boarding 프로그램을 출시하여 가디언 노드 개념을 도입했습니다. 이 클라이언트를 통해 쎄타의 사용자는 블록체인의 무결성을 위한 노드 생성에 기여할 수 있고 이에 대한 보상으로 TFUEL을 받습니다.
현재와 미래
현재 쎄타는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만을 제공하고 있지만, 여유 메모리를 제공하여 컴퓨팅 파워를 올리는 모든 분야로도 서비스 확장이 용이합니다. 향후 쎄타 프로젝트는 비디오 스트리밍 분야를 넘어 공유 컴퓨팅 분야로 사업을 확장해나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디지털 자산 소개
디센트럴랜드는 이더리움을 기반으로 한 가상현실(메타버스) 플랫폼으로서 사용자들은 디센트럴랜드 생태계 내에서 가상 토지의 소유권을 보유하고 거래할 수 있습니다. 토지는 스마트 컨트랙트로 만들어진 NFT입니다. 디센트럴랜드 토큰(MANA)은 디센트럴랜드 생태계 내에서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하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기술적 특징
1. 디센트럴랜드는 NFT 등 콘텐츠를 분산 시스템으로 배포합니다. 이러한 탈중앙화 시스템을 사용하면 중앙형 인프라는 필요 없어지고, 콘텐츠 규제가 없어져 유저들간의 상호작용만으로 시스템을 운영할 수 있습니다. 2. 디센트럴랜드에서는 허브앤스포크(Hub and Spoke) 결제 채널 네트워크를 통해 빠르고 안전하게 거래할 수 있습니다. 결제 채널을 통해 메타버스 내부의 거래와 콘텐츠 및 P2P(Peer to Peer) 서버의 품질 향상에 따른 인센티브가 제공됩니다.
현재와 미래
디센트럴랜드는 가상 토지 거래를 시작으로 NFT 마켓플레이스를 활발하게 운영하는 등 사업을 성공적으로 확장해나가고 있습니다. 향후 디센트럴랜드는 메타버스와 NFT 시장 성장에 발 맞추어 메타버스 사업을 영위해나갈 것입니다.
디지털 자산 소개
앵커는 블록체인 기반의 분산형 클라우드 컴퓨팅 플랫폼을 구축하는 프로젝트입니다. 사용자는 고사양 데이터센터의 여유자원을 사용할 수 있고, 데이터 제공자는 데이터센터 내 여유자원을 수익화 할 수 있는 효율적 비즈니스 모델을 제공합니다. 앵커 토큰(ANKR)은 앵커 클라우드 플랫폼의 지불 수단으로 사용됩니다.
기술적 특징
1. 앵커는 유용한 작업증명(Proof of Useful Work, PoUW) 합의 알고리즘을 사용하며, 그 특성으로 인해 해쉬함수를 푸는 것이 아닌 단순 컴퓨팅파워를 제공하는 것만으로 채굴이 가능합니다. 2. 멀티체인 확장성 문제를 해결하는 레이어-2 기술인 플라즈마(Plasma) 기술을 활용하여 블록체인 블록 사이즈를 줄임과 동시에 최소한의 데이터만을 메인체인과 동기화 하여 수수료를 절감합니다.
현재와 미래
앵커는 공유자원을 활용한 컨테이너(Container) 기반 클라우드 서비스 마켓플레이스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앵커는 전통 클라우드 서비스 기업보다 합리적인 비용에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지속적인 개발을 진행 중이며, 타 비즈니스 블록체인들과의 활발한 파트너십을 형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디지털 자산 소개
아르고는 비즈니스를 위한 오픈소스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플랫폼입니다. 아르고는 아르고 체인 기반 비앱(Blockchain Application, BApp)을 호스팅하는 인프라를 제공합니다. 아르코 토큰(AERGO)은 아르고 플랫폼에서 활용되는 유틸리티 토큰이며, 아르고 플랫폼에서 제공되는 특정 서비스를 이용할 때 필요합니다.
기술적 특징
1. 아르고 체인은 블록체인 운영 시스템이자 글로벌 공용 분산형 네트워크로 구성된 퍼블릭 프로토콜입니다. 또한, 아르고 SQL은 아르고 체인의 스마트 컨트랙트로서 데이터베이스 SQL을 비롯한 스크립트 언어를 저장하고 액세스하는데 활용됩니다. 2. 아르고 플랫폼의 프라이빗 블록체인은 권위증명(Proof of Authority, PoA)합의 알고리즘으로 실행되는 반면, 퍼블릭 블록체인 네트워크인 아르고 메인넷은 비잔틴 장애 허용(Byzantine Fault Tolerance, BFT) 위임지분증명(Delegated Proof of Stake, DPoS) 알고리즘으로 실행됩니다.
현재와 미래
아르고는 빠른 성능, 안정성 그리고 쉬운 사용성을 갖춘 퍼블릭 블록체인을 중심으로 구축된 분산형 생태계를 지향하며, 개발 친화적이며 풍부한 기능을 갖춘 스마트 컨트랙트 구조 제공을 목표로 합니다. 향후 아르고는 자체 메인넷의 지속적인 업데이트와 더불어 더 많은 디앱(DApp)을 메인넷 내에 출시하여 아르고 생태계를 확장해나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디지털 자산 소개
코스모스는 서로 다른 블록체인을 연결하는 '인터체인 네트워크(Interchain network)'입니다. 독립된 블록체인들이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연결해주어 블록체인의 인터넷을 표방합니다. 또한, 코스모스는 텐더민트(Tendermint) 코어와 코스모스 SDK(Software Development Kit)를 제공하여 개발자들이 기본 프로토콜간 차이점을 신경 쓰지 않고 쉽게 블록체인 서비스들을 개발할 수 있도록 합니다. 코스모스 토큰(ATOM)은 코스모스 생태계의 기반 자산으로서 수수료 지불, 예치(Staking), 거버넌스의 용도로 사용됩니다
기술적 특징
ATOM은 코스모스 메인넷의 네이티브 토큰(Native Token)으로 비잔틴 장애 허용(Byzantine Fault Tolerance, BFT) 알고리즘을 개선한 지분증명(Proof of Stake,PoS) 알고리즘인 텐더민트 코어 합의 매커니즘을 사용하여 속도, 확장성, 과다한 채굴비용 등을 개선합니다.
현재와 미래
코스모스는 코스모스 허브, IBC(Inter-Blockchain Communication) 프로토콜, 코스모스 SDK 등 블록체인 개발과 상호 연동을 위한 핵심기술을 서비스합니다. 이를 통해 개발자는 서로 다른 블록체인들간에 상호운용이 가능한 디앱(DApp)을 신속하게 구축할 수 있습니다. 코스모스는 이처럼 안전하고 확장성있는 서비스를 통해 생태계를 빠르게 확장하고 있습니다.
디지털 자산 소개
썬더코어(TT)는 이더리움처럼 블록체인 플랫폼 역할을 하기 위한 목표에서 시작한 프로젝트로 이더리움의 확장성 문제를 해결하는 동시에 EVM(Ethereum Virtual Machine)이 호환되는 블록체인 플랫폼으로 주로 게임 관련 디앱(DApp)들을 유치하고 있습니다. 썬더코어(TT)는 블록체인 내 트랜잭션에 대한 수수료나 가치 저장소로 이용됩니다.
기술적 특징
1, 썬더코어는 기존 이더리움 대비 빠른 트랜잭션 처리 속도와 낮은 트랜잭션 수수료를 보유합니다. 2. 빠른 트랜잭션 처리 속도를 위해 썬더 슬로우체인(Slow Chain)이라는 표준 블록체인 위에 패스트 패스(Fast Path)를 결합하였습니다. 트랜잭션에 문제가 없을 시 패스트 패스 위에서 빠르게 처리가 되고, 문제가 발견될 시 슬로우체인에서 수정되는 방식입니다.
현재와 미래
썬더코어는 이더리움 플랫폼의 느린 트랜잭션 처리 속도를 개선했습니다. 하지만 현재 이더리움의 확장성 문제를 해결 중인 블록체인 프로젝트들이 다수 존재합니다. 향후 썬더코어는 TT의 토큰 이코노믹스를 확립하고, 지속적인 플랫폼 기술 개발을 통해 타 프로젝트들과 경쟁해 나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디지털 자산 소개
캐리 프로토콜은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오프라인 구매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광고 수요자들에게 데이터 기반의 광고를 용이하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프로젝트입니다. 이를 통해 광고 중개자가 없어져 소비자들이 전적으로 광고에 대한 보상을 얻을 수 있고, 광고 수요자들은 더 적합한 대상에게 낮은 비용으로 광고를 개시할 수 있게 됩니다. 캐리 토큰(CRE)은 캐리 서비스 사용자에 대한 보상 지급 수단으로 사용됩니다.
기술적 특징
1. 캐리 프로토콜은 이더리움 네트워크 기반의 ERC-20 유틸리티 토큰으로, 서비스의 상용화를 위해 한국 내 최대 로열티 포인트 서비스인 '도도 포인트'와 협업하고 있습니다. 2. 캐리 프로토콜의 헤네시스(Henesis) 지갑은 강력하고 안전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블록체인 지갑 솔루션입니다. 다중 서명 기능, 키 관리 시스템 및 하드웨어 보안 모듈을 지원하여 디지털 지갑의 보안 및 관리를 강화합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들은 CRE의 입출금과 모바일 앱 내 도도 포인트 리워드 기능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현재와 미래
캐리 프로토콜은 CRE 지갑과 '도도 포인트' 앱 연계를 통해 지갑 내 예치(Staking), 인센티브 제공 등의 서비스들을 제공하여 서비스들을 확장해나가고 있습니다. 향후 캐리 프로토콜은 CRE 마켓플레이스 및 디파이(DeFi) 서비스 출시를 통해 CRE의 사용처를 넓혀갈 것입니다.
디지털 자산 소개
무비블록은 영화 및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중앙화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탄생한 블록체인 기반 P2P(Peer to Peer) 영화 배급 플랫폼입니다. 영화 제작 및 유통 과정을 탈중앙화하고 참여자들에게 플랫폼 기여도에 따른 보상을 제공합니다. 무비블록 토큰(MBL)은 무비블록 플랫폼 내의 경제활동에 사용됩니다.
기술적 특징
1. 무비블록은 기존의 서비스를 제공하던 판도라TV 플랫폼의 일부를 사용하여 서비스의 안정성을 높이고, 3개의 블록체인 레이어를 통해 보안 및 안정성, 확장성을 개선했습니다. 2. 무비블록의 레이어는 서비스에 접근 가능하게 만드는 앱 레이어, 앱 레이어와 분산화코어를 이어주는 서비스 레이어, 데이터와 토큰 유동성을 관리하는 분산화코어로 구성됩니다.
현재와 미래
무비블록은 유저들이 다양한 영화 콘텐츠들을 플랫폼에 업로드하거나 자체 영화제에 출품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매출 및 수익 정산을 투명하게 공개하고, 플랫폼에 참여한 기여도에 따라 공정하게 보상을 분배하고 있습니다. 향후 무비블록은 다양한 콘텐츠들을 제작 및 출품하는 동시에 콘텐츠들의 지식재산권을 이용한 NFT를 제작하는 등 사업을 다각화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디지털 자산 소개
왁스(WAX)는 블록체인 기반 게임 NFT를 대중들이 가장 안전하고 쉽게 수집하고 거래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젝트입니다. 왁스 토큰(WAXP)은 왁스 플랫폼의 유틸리티 토큰으로서 아이템 게시와 거래시 지불 용도 및 커뮤니티에 대한 제안 및 투표 수단으로 사용됩니다.
기술적 특징
1. 왁스 블록체인은 두 개의 레이어(레이어-1 : 비동시적 비잔틴 장애허용(asynchronous Byzantine Fault Tolerance, aBFT), 레이어-2 :위임지분증명(Delegated Proof of Stake, DPoS))를 보유합니다. 왁스는 네트워크 상 유효한 블록에 서명할 수 있는 생산자를 선발하기 위해 DPoS를 사용하고, 이 합의 과정은 aBFT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2. 왁스는 초당 8,000건의 거래를 처리할 수 있으며 독자적인 위임지분증명 메커니즘을 통해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대비 에너지 효율적으로 채굴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현재와 미래
왁스는 레이어-1 네트워크의 대표적인 프로젝트로서 약 850만 개의 지갑 수를 보유하는 등 많은 유저들이 왁스 내에서 거래를 진행해왔습니다. 향후 왁스는 NFT 및 블록체인 게임사들과 파트너십을 맺어 유저들에게 블록체인 게임 및 메타버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지속적으로 게임 아이템 경제 산업 내에서 성장해 나갈 것으로 전망됩니다.
디지털 자산 소개
헤데라의 목적은 다양한 디앱(DApp)들이 탄생할 수 있는 안정적이고 신뢰가능한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헤데라 코인(HBAR)은 해데라의 메인넷 코인으로서 헤데라 디앱 생태계와 P2P(Peer to Peer) 거래를 지원하는데 사용됩니다.
기술적 특징
1. HBAR는 네트워크 서비스 비용을 지불하는 연료이자, 컴퓨팅 리소스 제공 노드를 위한 인센티브로서 기능합니다. 2. 헤데라 네트워크의 합의 알고리즘은 지분증명방식(Proof of Stake, PoS)으로서, 빠른 트랜잭션 처리 속도와 적은량의 대역폭 사용을 주요 특징으로 보유하고 있습니다.
현재와 미래
헤데라는 막대한 양의 에너지 소모, 느린 트랜잭션 처리 속도와 같은 기존 블록체인 1세대가 가진 한계들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해왔습니다. 이를 통해 현재까지 수많은 디앱들이 헤데라 해시그래프 플랫폼 위에서 탄생하였으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기술개발과 활발한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블록체인 2.0'을 주도해나갈 것으로 기대됩니다.
디지털 자산 소개
메디블록은 분산된 개인 의료정보를 수집하여 제공하는 개인 맞춤형 의료 데이터 플랫폼으로, 블록체인을 통해 데이터의 보안성을 높이고 이를 활용하여 개인 맞춤형 정밀 의료를 가능하게 합니다. 메디블록 토큰(MED)은 데이터 거래에 따른 보상 및 수수료로 사용됩니다.
기술적 특징
1. 메디블록은 의료정보 프로토콜 기반의 자체 퍼블릭 블록체인인 패너시어(Panacea) 메인넷을 사용하고, 위임지분증명(Delegated Proof-of-Stake, DPoS)에 프랙티컬 비잔틴 장애 허용(Practical Byzantine Fault Tolerance, PBFT)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구축되었습니다. 2. 메디블록은 메디블록 코어 레이어, 메디블록 서비스 레이어, 메디블록 앱 레이어의 3가지 레이어로 구성됩니다.
현재와 미래
메디블록은 메인넷의 지속적인 업그레이드를 통해 타 블록체인과의 호환성을 높여 환자 중심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데 힘쓰고 있습니다. 향후 메디블록은 의료서비스 이용 범위의 확장을 위해 다양한 파트너십을 맺고 메디블록 커뮤니티를 활성화 하는 등으로 생태계를 확장해 나갈 것으로 전망됩니다.
디지털 자산 소개
밀크는 블록체인 상에서 다양한 기업의 마일리지 제도를 연결하는 로열티(Loyalty) 프로젝트입니다. 유저들은 밀크 앱을 통해 제휴 기업의 마일리지를 상호 교환하고, 쿠폰, 상품권 등을 사고 팔 수 있으며, 이때 밀크 토큰(MLK)을 사용합니다. 밀크는 마일리지를 매개로 여러 분야의 서비스들이 한 데 모이는 플랫폼으로서 실생활에 유용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기술적 특징
1. 블록체인 기반으로 양방향 마일리지 전환이 가능한 구조이며, 밀크 유저는 보유한 다양한 기업의 마일리지를 MLK로 교환하거나 MLK를 원하는 마일리지로 교환할 수 있습니다. 제휴사의 회원 계정과 밀크 앱 계정이 연동되어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반영됩니다. 2. 블록체인을 통해 모든 포인트 거래가 투명하게 기록됩니다. 이때 발생하는 모든 거래는 블록체인 상에 기록되며 위/변조 위험성 없이 데이터가 안전하게 보관됩니다.
현재와 미래
밀크는 실생활에서 이용 가능한 다양한 업종의 파트너들과 긴밀한 관계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기업들이 밀크를 매개로 서로의 회원을 공유하고 로열티를 증가시킬 수 있는 통합 멤버십 서비스가 되는 것이 목표입니다. 밀크는 앞으로 제휴 기업 간 시너지를 모색하고 글로벌 서비스 플랫폼이 되기 위한 파트너십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전망입니다.
디지털 자산 소개
에스티피 네트워크는 자산 토큰화 표준 프로토콜로 사용자들이 개인의 자산을 토큰화할 수 있는 스마트계약 플랫폼입니다. 에스티피 토큰(STPT)는 에스티피 네트워크에서 블록체인 사업과 관련된 컨설팅이나 토큰화를 위한 네트워크 사용 비용으로 사용되는 유틸리티 토큰입니다.
기술적 특징
1. 에스티피 표준은 자산의 토큰화에 대한 소유권, 발행, 전송 및 수신에 대한 방법을 제시합니다. 에스티피 표준 위에 생성된 토큰 자산은 프로토콜의 온체인 검증자(Validator)를 통해 표준 준수사항을 확인합니다. 그 후 ERC-20 플랫폼에서 전송이 가능하도록 지원합니다. 2. 에스티피 네트워크에서는 토큰화된 자산을 분산화 하여 부분적 자산화가 가능합니다.
현재와 미래
에스티피 네트워크는 모든 종류의 디지털 자산 발행에 대한 글로벌 표준을 만들어 왔습니다. 지속적인 개발을 통해 여러 플랫폼에 디앱(DApp)을 출시하고 서비스와 새로운 금융상품을 제시하면서 지속적인 발전을 해나가고 있습니다. 궁극적으로 에스티피는 자산화에서의 중간단계를 블록체인으로 없애 자산의 가치를 최대한으로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디지털 자산 소개
오브스는 개발자들이 앱을 개발할 시 도움을 주는 퍼블릭 블록체인 인프라 솔루션으로, 이더리움, BSC(Binance Smart Chain) 등의 레이어-1 체인들과 호환되는 하이브리드 블록체인입니다. 오브스 토큰(ORBS)은 네트워크에 예치(Staking)하여 보상을 받거나 앱들이 실행되기 위한 리소스 비용을 지불하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기술적 특징
1. 오브스는 기존 샤딩 기술을 개선한 스마트 샤딩(Sharding) 기술 기반의 가상체인을 개발하였습니다. 분산 앱마다 하나의 레인(Lane)을 부여하여 거래할 확률이 높은 사용자들끼리 데이터를 공유하고 관리하여 확장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킵니다. 2. 오브스는 EVM(Ethereum Virtual Machine)기반의 레이어-1, 레이어-2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디앱(DApp)이 EVM 스마트 컨트랙트를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합니다.
현재와 미래
오브스는 생태계 내 검증자(Validator)의 참여수준을 높여 보안성과 탈중앙화 기술을 더욱 강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오브스는 이더리움, BSC(Binance Smart Chain), 폴리곤, 솔라나, 아발란체 등 레이어-1 메인넷 기반의 디파이(DeFi) 프로토콜에게 EVM 스마트 컨트랙트를 확장시켜주는 인프라 환경을 제공하여 서비스를 구축해 나가고 있습니다. 향후 오브스는 레이어-1 메인넷들과 호환가능한 레이어-3 인프라를 구축하며 생태계를 확장해 나갈 것입니다.
디지털 자산 소개
비체인(VeChain)은 블록체인 기반의 물류 시스템 플랫폼으로서 물류 공급체인 참가자들 간의 신뢰성 확보를 목표로 합니다. 비체인 토큰(VET)은 비체인 네트워크에서 결제통화로 사용되는 디지털 자산입니다. VET를 예치(Staking)함으로써 비체인 네트워크에서 사용할 수 있는 또다른 디지털 자산인 비토르 토큰(VTHO)을 받을 수 있습니다.
기술적 특징
1. 비체인은 권위증명(Proof of Authority, PoA) 합의 알고리즘을 사용하고, 크로스체인 및 사이드체인을 도입하여 확장성을 높였습니다. 2. 비체인 사용자들은 비체인토르 코어(VeChainThor Core) 내에 자신들의 공급망 데이터를 저장하고, 비체인토르 코어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스마트 컨트랙트에 기반하여 트랜잭션을 처리합니다.
현재와 미래
비체인은 공급자간 신뢰성을 보장해줌과 동시에 공급자와 소비자 사이의 투명성을 보장합니다. 현재 식품 제조 및 유통사, 보험사, 이동통신사 등의 여러 기업과 제휴를 맺고 있으며, 향후 공급망의 중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투명성과 보안성을 보장하는 비체인 프로젝트의 분야가 넓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코인 소개
칠리즈는 스포츠와 엔터테인먼트를 위한 블록체인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 구축된 프로젝트로, Socios.com이라는 블록체인 기반 스포츠 엔터테인먼트 플랫폼을 운영하며 플랫폼 내에서 스포츠 팀들과 팬 사이의 소통 창구 역할을 합니다. 칠리즈 토큰(CHZ)는 스포츠 팀을 비롯한 다양한 조직들의 팬 토큰 및 투표 토큰을 얻거나 관련 상품들을 구매하는 수단으로 사용됩니다.
기술적 특징
1. 칠리즈는 권위 노드(Authority Node) 가 신규 블록체인 블록을 생성하고 보호하는 권위 증명(Proof of Authority, PoA) 방식의 이더리움 사이드체인인 chilliZ를 보유합니다. 2. CHZ는 바이낸스 스마트 체인과 이더리움 블록체인 위에서 구동되고, chilliZ 사이드체인에서는 팬 토큰 및 투표 토큰이 발행됩니다.
현재와 미래
칠리즈는 다수의 스포츠 팬들이 적극적으로 영향력을 행사하고 구단은 이러한 팬덤을 활용하여 수익을 창출 할 수 있는 선순환 환경을 제공하고있습니다. 향후 칠리즈는 구단과 팬의 상생을 추구한다는 목표 하에 더욱 많은 구단 및 스포츠 조직들을 플랫폼 내에 유치하여 칠리즈 생태계를 확장해나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디지털 자산 소개
스톰엑스는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의 디지털 자산을 쇼핑과 연계하여 캐시백을 받을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앱입니다. 스톰엑스 사용자들은 익스피디아, 나이키, 이베이 등 천 여개가 넘는 쇼핑몰을 이용한 뒤 비트코인 등의 디지털 자산으로 캐시백을 받을 수 있습니다. 스톰엑스 토큰(STMX)은 스톰엑스의 네이티브 토큰으로서 사용자들은 스톰엑스 생태계 참여에 대한 보상으로 STMX를 지급받을 수 있으며, STMX 보유자들은 이를 거래소를 통해 재판매 하거나 STMX를 매개로 캠페인을 개최할 수 있습니다.
기술적 특징
1. 스톰엑스는 이더리움 기반의 온체인을 사용함으로써 발생하는 확장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스톰플레이(Storm Play) 앱과 같은 독자적인 네트워크 서비스를 오프체인으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2. 스톰태스크(Storm Task)는 이더리움 기반의 온체인과 스톰플레이(오프체인)간의 합의를 위한 스마트 컨트랙트 템플릿입니다.
현재와 미래
스톰엑스는 "언제, 어디서나, 어떤 디바이스로도 일하는 사람과 일을 찾는 사람을 연결한다."라는 모토의 긱 경제(gig economy)와 업무의 게임화(gamification)를 주도하고 있습니다. 스톰엑스는 페이백 서비스 이외에도 STMX를 통해 결제할 수 있는 직불카드를 출시하여 유저들이 전세계에서 STMX 토큰을 통해 손쉽게 쇼핑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며 이를 통해 스톰엑스 생태계를 확장해 나가고 있습니다.
디지털 자산 소개
디카르고는 퍼블릭 블록체인 기반 개방형 물류 네트워크 프로젝트로, 기존 단일 주체가 모든 물류 프로세스를 담당하는 데에서 발생하는 배송의 비효율성을 개선하여 보다 합리적인 비용으로 물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디카르고 토큰(DKA)은 플랫폼 내 예치(Staking), 물류 데이터 제공에 대한 보상 및 거래 수단의 용도로 사용됩니다.
기술적 특징
1. 디카르고는 다중서명 방식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 물류 공급망 내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합의를 이끌어냅니다. 블록체인에 기록된 물류 정보는 AI 엔진을 통해 최적화되고 효율적인 물류 경로를 제공합니다. 2. 디카르고는 이더리움 네트워크를 통해 물류 계약 이행 여부를 판별하고 정산을 자동화합니다. 정산 후 디카르고 플랫폼 참여자들은 기여에 따른 보상을 받게됩니다.
현재와 미래
디카르고는 글로벌 이커머스 물류 플랫폼인 'Deleo'를 핵심 파트너로 두고 있습니다. 디카르고는 'Deleo'와 함께 카카오페이 배송 파트너십을 구축하여 보다 경쟁력 있는 물류 생태계를 위해 협업하고 있습니다. 향후 디카르고는 국내외 물류 및 이커머스사들과의 지속적인 파트너십을 통해 디카르고 생태계를 확장해 나갈것으로 예상됩니다.
디지털 자산 소개
하이브는 트론 재단(Tron Foundation)이 인수합병을 통해 스팀 토큰(STEEM) 공급량의 80%를 확보한 것에 반발하여, 스팀 커뮤니티 중심의 하드포크(Hard Fork)에 의해 새롭게 탄생한 블록체인 네트워크입니다. 하이브 플랫폼은 하이브(HIVE)와 하이브달러(HBD)라는 두개의 토큰을 사용하며, HIVE는 플랫폼의 기능 업그레이드를 위해, HBD는 플랫폼 내 보상의 수단으로서 활용됩니다.
기술적 특징
1. 하이브는 위임 지분증명방식(Delegated-Proof-of-Stake, DPoS)의 합의 알고리즘을 사용합니다. 해당 알고리즘 내에서 토큰 보유자들은 검증자(Validator)를 선출하고, 선출된 검증자들은 블록 추가에 대한 검증을 대가로 HBD를 지급받습니다. 2. 거버넌스 투표 참여를 위해 유저들은 30일 전부터 토큰을 락업(Lock-up)해야합니다. 이를 통해 이른바 '트론 사건'과 같은 중앙화 거버넌스 공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습니다.
현재와 미래
하이브는 블록체인 기술과 디지털 자산의 대중화를 목표로 끊임없이 진화하고 혁신하는 생태계를 조성해 왔습니다. 하이브 블록체인의 성능은 HIVE를 기반으로 한 플랫폼 기능 업그레이드와 이를 통한 사용자들의 증가로 인해 지속적으로 개선될 것으로 보입니다. 앞으로 빠른 처리 속도와 수수료 없는 트랜잭션을 통해 하이브는 효율적인 블록체인 프로젝트들 중 하나가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디지털 자산 소개
카바는 주요 가상자산 담보 대출과 스테이블 코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파이(DeFi) 플랫폼입니다. 해당 플랫폼에서 유저들은 담보제공을 통해 스테이블 코인인 USDX를 발행할 수 있고, 이를 예치(staking)하여 일정 수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카바 토큰(KAVA)은 카바 플랫폼의 거버넌스 토큰으로서 카바가 카바 스테이블 코인(USDX)의 최종 대부자(The Lender of Last Resort)로 기능할 때 사용될 수 있습니다.
기술적 특징
1. 카바는 퍼블릭 블록체인 오픈소스인 코스모스 SDK(Software Development Kit)를 기반으로 설계되었으며, 지분증명(Proof of Stake, PoS)방식의 합의 알고리즘을 사용합니다. 2. 검증자(Validator)들의 합의를 통해 새로운 블록들이 형성되면 이에 비례하여 KAVA가 생성되는데, 이는 유동성을 공급한 KAVA 보유자들에게 보상으로 제공됩니다. 이 때, 각 블록당 KAVA 생성량은 예치(staking)된 KAVA에 비례합니다.
현재와 미래
카바는 다양한 오픈 금융 서비스를 위한 인프라를 제공하여 크로스체인 디파이 앱 개발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카바의 대출 플랫폼은 유저들을 다양한 대출, 이자 상품과 연결함으로써 디지털 자산을 활용한 다양한 수익 창출 솔루션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디지털 자산 소개
아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참여자 보상형 Q&A 플랫폼으로, 커뮤니티에 양질의 지식을 제공하여 지식생태계 발전에 기여한 사용자에게 아하토큰(AHT)을 지급합니다. AHT는 아하 플랫폼의 주요 보상 및 비용 지불 수단, 지식 콘텐츠의 소유권과 저작권을 증명할 수 있는 수단으로 활용되는 유틸리티 토큰입니다.
기술적 특징
1.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아하 서비스의 특정 사용자가 생산한 지식 콘텐츠의 저작권을 증명하고 거래 내역을 보존합니다. 2. 아하 Q&A, 아하 칼럼, 아하 컨설팅, 아하 리뷰 등의 서비스를 통해 다양한 경제적 인센티브 구조를 형성하고 지식 생태계를 확장합니다.
현재와 미래
아하는 플랫폼 내 제도 개편을 진행하고 리워드 및 연계 기능을 추가하는 등 사용자의 플랫폼 활용성을 높여나가고 있습니다. 향후 아하는 희소성 및 가치가 높은 지식의 원본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NFT를 개발하고, NFT와 AHT로 원 저작자의 콘텐츠에 대한 소유권을 보장하는 등 사용자들의 저작권을 지속적으로 보호하는 방향으로 나아갈 것입니다.
디지털 자산 소개
체인링크는 모든 블록체인 네트워크 내 스마트 컨트랙트의 위변조방지를 목표로 합니다. 체인링크 토큰(LINK)은 체인링크 네트워크상에서 제공되는 모든 서비스들과 관련된 지불 수단으로서 사용되는 유틸리티 토큰입니다.
기술적 특징
1. 유저들은 API를 이용하여 다양한 스마트 컨트랙트와 데이터 출처를 연결함으로써 온체인, 오프체인 데이터를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체인링크 네트워크를 통해 블록체인 바깥의 사람들에게도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 2. 체인링크는 독립적인 오라클 노드 연산자(Oracle Node Operator)들로 이루어진 분산 네트워크로 구성되어있습니다. 이를 통해 가격 피드(Price Feeds), Verifiable randomness, 보유증명(Proof of Reserve, PoR)과 같은 다양한 탈중앙화 서비스를 스마트 컨트랙트에 구현했습니다.
현재와 미래
체인링크는 "오프체인에 존재하는 외부데이터와의 불연결성"이라는 기존 오라클 블록체인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습니다. 체인링크 오라클 네트워크는 높은 확장성과 프라이버시 보안성을 가짐과 동시에, 온체인, 오프체인 인프라를 결합하는 하이브리드 스마트 컨트랙트를 목표로 나아가고 있으며, 향후 디파이(DeFi)나 NFT 플랫폼 등과의 서비스 연동을 통해 체인링크의 사용처를 더 늘려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디지털 자산 소개
테조스는 스마트 컨트랙트와 디앱(DApp) 개발을 위한 플랫폼으로, 블록체인의 거버넌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탄생했습니다. 테조스 토큰(XTZ)은 테조스의 거버넌스 토큰으로, 테조스 네트워크 내부에서 거래 수수료를 지불하고 스마트 컨트랙트를 실행하는 데 사용됩니다.
기술적 특징
1. 테조스는 유동지분증명(Liquid Proof of State, LPoS) 합의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1만개 이상의 XTZ를 스테이킹 한 사람 중에서 무작위로 대상자를 뽑아 합의를 진행합니다. 2. 테조스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는 스마트 컨트랙트는 자체적인 '공식검증' 기술을 도입하여 스마트 컨트랙트의 보안을 강화했습니다. 3. 테조스는 사용자가 프로토콜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자체적인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온체인 거버넌스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현재와 미래
테조스는 자체 수정이 가능한 단일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만들어져 기존 블록체인의 하드포크 문제점을 개선하였습니다. 또한 LPoS의 도입으로 채굴과 관련된 문제를 해결했습니다. 테조스는 처음 공개 당시 진보적인 기술력을 인정받아 역대 2위 규모의 ICO를 받은 바 있습다. 향후 테조스를 기반으로하는 실용적인 디앱들의 탄생여부에 테조스 네트워크 성패가 갈릴 것으로 보입니다.
디지털 자산 소개
보라는 블록체인에 기반한 디지털 콘텐츠 플랫폼입니다. 보라 플랫폼을 통해 투명성, 보안성을 제공되어 다양한 콘텐츠가 유통되고 서비스 환경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사용자들은 보라 토큰(BORA)을 통해 디지털 아이템을 구매하거나 플랫폼 내 마일리지 및 프로모션 참여 용도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기술적 특징
1. 보라는 이더리움 체인의 제한된 확장성을 고려하여 별도로 분리된 프라이빗 네트워크를 구축하였고, 이를 통해 보다 빠른 처리 속도와 확장성을 제공할 수 있게되었습니다. 2. 보라 플랫폼은 콘텐츠 제공자 별로 맞춤형 블록체인 기능 사용이 가능할 수 있도록 모듈화된 구조로 설계되었습니다.
현재와 미래
보라는 자체적인 프라이빗 네트워크를 통해 높은 트랜잭션 처리량과 확장성을 제공하여 보다 투명한 인터넷 환경을 조성하고, 콘텐츠 가치가 제대로 인정받을 수 있는 블록체인 플랫폼이 되는 것을 지향합니다. 보라는 향후 지속적인 개발을 진행하는 동시에 여러 게임사와의 기술 협업을 통해 생태계를 확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디지털 자산 소개
저스트는 트론 블록체인 기반의 탈중앙화 스테이블 코인(Stable coin) 플랫폼입니다. 저스트 토큰(JST)은 저스트 플랫폼의 네이티브 토큰으로서 유저들은 JST를 예치(staking)하여 스테이빌리티 수수료, 담보화 비율, 담보 가능 자산의 성격 등과 같은 주제에 대한 거버넌스 합의 과정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기술적 특징
1. 유저들은 담보부 부채 포지션(Collateralized Debt Positions, CDPs)에 트론 코인(TRX)을 예치함으로써 스테이블 코인인 USDJ를 발행할 수 있습니다. 이후 JST를 담보부 부채 포지션에 예치하고 담보 설정을 철회할 때, 수수료를 지불해야 합니다. 2. JST 보유 유저들은 저스트 플랫폼의 거버넌스 과정에 참여하며, USDJ 발행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수료를 보상으로 가져갑니다.
현재와 미래
트론은 디앱(DApp)을 개발하기 위해 가장 많이 사용되는 블록체인 플랫폼 중 하나입니다. 저스트는 트론 블록체인 생태계의 주도적인 디파이(DeFi) 프로젝트로서 트론 재단 주도의 디파이 서비스 확장을 주도해나가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현 이더리움 중심의 디파이 생태계에서 벗어나 다양한 디파이 생태계 형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디지털 자산 소개
크립토닷컴은 디지털 자산을 이용한 온라인 결제 플랫폼입니다. 크립토닷컴은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그리고 이더리움에 기초한 ERC-20 기반의 토큰들의 결제, 송금, 환전을 지원합니다. 비자(VISA)카드와 지갑 앱을 연동하여 실물 경제에 암호 화폐를 활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합니다. 크로노스(CRO)는 크립토닷컴에서 화폐로 사용할 수 있도록 발행하는 디지털 자산으로 결제, 송금, 환전을 지원합니다.
기술적 특징
1. 크립토닷컴은 자체적인 API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기존의 커머스 사업자들은 크로노스에서 제공하는 API를 통해 간단하게 크립토닷컴 페이를 연동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거래 시 발생하는 수수료 비용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2. 크립토닷컴은 결제 영역에서 크립토 페이와 카드 서비스를, 트레이딩 영역에서 크립토닷컴 거래소와 앱을, 금융서비스 영역에서 탈중앙 금융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현재와 미래
크립토닷컴은 EVM(Ethereum Virtual Machine) 호환성을 지닌 크로노스(Cronos Mainnet)를 출시하여 개발자들이 이더리움 네트워크와 즉각적으로 호환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향후 크립토닷컴은 디지털 자산 카드 결제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목표 하에 자체 생태계를 확장해나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디지털 자산 소개
토카막 네트워크는 이더리움 블록체인과 동일한 스펙의 사이드체인입니다. 이더리움 메인 체인의 디앱(DApp)들을 그대로 토카막 네트워크에 옮길 수 있다는 점에서 이더리움과 동일한 수준의 탈중앙성과 안정성을 보장함과 동시에 더 높은 수준의 확장성을 제공합니다. 톤 코인(TON)은 거버넌스 권한 부여, 예치(Staking)를 통한 체인 생성, 보상의 수단으로 사용됩니다.
기술적 특징
1. 토카막 네트워크는 튜링완전성(Turing Completeness)을 가진 블록체인입니다. 2. 토카막 네트워크는 이더리움 블록체인의 확장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플라즈마(Plasma) 체인이나 롤업(Roll Up) 등의 다양한 레이어2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현재와 미래
토카막 네트워크에서는 블록체인 간 데이터를 교환하는 방식이나 체인 간 데이터를 중개하는 별도의 블록체인을 만들지 않더라도 체인 간 블록 검증이 가능하게 하여 확장성의 문제를 해결하였습니다. 프로젝트에 따르면 토카막 네트워크는 원래의 이더리움이 목표했던 금융/비금융 분야를 아울러 다양한 서비스를 만드는 가장 주요한 플랫폼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디지털 자산 소개
스와이프는 디지털 자산 지갑 플랫폼입니다. 스와이프 지갑은 디지털 자산을 이용한 출금, 결제 등의 경제 활동을 가능하게 합니다. 스와이프 토큰(SXP)은 스와이프의 거버넌스 토큰임과 동시에 스와이프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에 사용됩니다. 스와이프 지갑과 연동된 카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기존의 체크/신용카드와 같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기술적 특징
1. 스와이프 오라클은 이더리움 기반 네트워크에 체인링크(Chainlink) 솔루션을 도입하여 이더리움-달러와 SXP-달러의 실시간 시세 연동을 가능하게 합니다. 2. 스와이프 지갑은 스와이프 네트워크에서 지원하는 모든 디지털 자산과 호환이 가능합니다. 현재 20여개가 지원되며 지속적으로 호환 가능 디지털 자산을 늘려나갈 예정입니다.
현재와 미래
현재 스와이프에서는 20여개의 디지털 자산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2020년에는 삼성페이와 비자와의 계약을 통해 글로벌 결제 시스템을 마련하는 등, 세계 유수 기업들과의 활발한 비즈니스 협약에도 노력을 기하고 있습니다. 더 많은 디지털 자산이 허용되고 디지털 자산의 화폐적 가치가 인정받기 시작한다면, 스와이프의 시장 가치는 더욱 커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디지털 자산 소개
헌트는 다양한 디앱(DApp)들에 게임화(Gamification)가 접목된 연합 네트워크를 운영합니다. 온라인 상의 커뮤니티 및 개인들의 다양한 사회적 상호작용이 블록체인과 디지털 자산 메커니즘에 접목되어 새로운 형태의 소셜 플랫폼을 구성하는 소셜파이(SocialFi) 영역의 디앱들이 헌트 네트워크의 주 대상입니다. 헌트 토큰(HUNT)은 디앱 내에서 서비스나 상품을 소비하기 위한 결제 수단으로 사용됩니다.
기술적 특징
1. HUNT는 소셜 기반의 탈중앙 플랫폼들을 하나로 연결하는 이더리움 기반의 ERC-20 토큰입니다. 2. 헌트는 유저들이 소셜 기반의 디앱들에서 서로 상호작용 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의 토큰 이코노미를 제공하고, 크로스체인 소셜 플랫폼 형성을 위한 기반으로도 활용됩니다.
현재와 미래
헌트 네트워크는 대표 프로젝트인 '네버루즈머니'와 '민트 클럽'의 성공으로 주목을 받아왔습니다. '민트 클럽'은 권위있는 디지털 자산 인큐베이션 프로그램에 선정되어 향후에는 '민트 클럽'을 중심으로 헌트의 적극적인 생태계 확장 및 서드 파티 프로젝트 육성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디지털 자산 소개
플레이댑은 블록체인 기반 게임 플랫폼으로서 전세계 게임유저들의 블록체인 게임 생태계 편입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플레이댑 토큰(PLA)을 통해 게이머들은 게임 내 자산에 대한 소유권을 온전히 가지게 될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플레이댑 생태계 운영에 참여하여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기술적 특징
1. 이더리움과 폴리곤 메인넷 기반의 마켓플레이스를 운영 중이며 이더리움과 Polygon간의 브릿지(Bridge)를 통해 PLA의 상호운영이 가능합니다. 2. 플레이댑 SDK(Software Development Kit)를 통해 전통 게임 개발사는 블록체인 연동성을 제공하여 게임 아이템을 NFT화하거나 NFT 거래를 지원할 수 있습니다.
현재와 미래
플레이댑은 C2C(Consumer to Consumer) 마켓플레이스를 서비스하고 있으며, 자체 개발 게임 및 파트너사와 협업한 게임 출시를 통해 콘텐츠를 확장하는 한편 이더리움 외 블록체인 프로토콜을 추가함으로써 서비스 확장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자체 개발 및 서비스 중인 게임에 P2E(Play to Earn) 업데이트를 단행하는 등 플레이댑 SDK와 NFT의 사용처를 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 앞으로 3rd party 개발사들과 플레이댑 SDK 도입을 통한 P2E 서비스를 확대해 갈 예정입니다.
디지털 자산 소개
폴카닷은 서로 다른 블록체인을 연결하는 인터체인(inter-chain) 프로젝트이며, 체인 간의 데이터 전송을 지원합니다. 폴카닷 코인(DOT)은 거버넌스 참여, 예치(Staking), 새로운 파라체인(Parachain) 지원을 위한 본딩(Bonding), 수수료 지불 등에 사용됩니다.
기술적 특징
1. 폴카닷은 릴레이 체인(Relay chain), 파라체인, 브릿지(Bridge)로 구성되는데, 릴레이 체인은 거래 여부를 결정하고, 파라체인은 거래 정보를 수집하며, 브릿지는 각 파라체인들을 이더리움, 비트코인과 같은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해줍니다. 2. 폴카닷 네트워크의 합의는 기본적으로 각 검증인(Validator)이 파라체인 블록의 유용성(Availability)과 유효성(Validity)에 대해 실시하는 투표를 통해 이루어집니다.
현재와 미래
폴카닷은 Web 3.0의 다양한 블록체인 프로젝트들 간의 상호 운용성 제공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탄생한 수많은 블록체인 프로젝트들을 연결하여 체인간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바탕으로 강력한 시너지를 만들어낼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디지털 자산 소개
세럼은 탈중앙화 디지털 자산 파생상품 거래소 프로젝트입니다. 세럼은 솔라나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여 이더리움 네트워크가 가진 확장성과 높은 수수료 문제를 해결했습니다. 세럼 토큰(SRM)은 세럼 프로젝트의 거버넌스 토큰이면서 예치(staking), 거래수수료에 사용되는 유틸리티 토큰입니다.
기술적 특징
1. 세럼은 솔라나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지만 SRM은 ERC-20표준과 교차 지원이 가능합니다. 2. 세럼은 자체적인 온체인 오더북과 거래 매칭 시스템으로 유동성 풀에 안정성과 거래가격-거래시간의 간극을 좁혀 효율성을 높혔습니다.
현재와 미래
세럼은 솔라나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고 있지만 ERC-20표준을 지원하기 때문에 이더리움 네트워크와도 호환이 가능합니다. 많은 레이어2 솔루션이나 블록체인 프로젝트들이 이더리움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세럼의 높은 호환성을 가지면서 이더리움 네트워크의 문제를 해결했습니다. 세럼은 디지털 자산을 기초자산으로 하는 여러 파생상품 거래를 지원과 여러 기능들을 추가하면서 발전하고 있습니다.
디지털 자산 소개
엠블은 모빌리티 분야의 다양한 서비스 영역을 하나로 연결한 블록체인 기반의 통합 모빌리티 생태계입니다. 엠블 사용자들의 방대한 데이터가 블록체인으로 관리되고 이로 인한 부가가치는 엠블 토큰(MVL)로 엠블 사용자에게 투명하고 공정하게 분배됩니다. MVL은 엠블 사용자 간의 거래나 플랫폼 데이터 제공에 대한 보상으로 사용됩니다.
기술적 특징
1. 엠블 사용자들의 정보를 담은 패스포트(Passport)를 발행하여 이를 하이브리드 블록체인(Hybrid Blockchain)을 통해 관리합니다. 민감한 정보는 허용된 블록체인(Permissioned Blockchain)에 기록하고, 퍼블릭 블록체인(Public Blockchain)은 데이터 업데이트 내역 및 무결성을 증명하는 용도로 활용합니다. 2. 엠블 생태계의 Passport는 NFT 형식으로 발행됩니다. NFT는 관련 스마트 컨트랙트 주소를 통해 발행 상태와 내역을 언제나 확인할 수 있습니다.
현재와 미래
엠블은 전기차량 R&D를 위한 자금 조달을 진행하고, ONiON이라는 전기차량 스테이션을 건설하는 등, 주로 동남아시아 국가에서 엠블만의 모빌리티 생태계를 구축해 나가고 있습니다. 향후 엠블은 자체 데이터를 기반으로 블록체인 게임, NFT, 디파이(DeFi) 등 다양한 블록체인 서비스를 구축하여 사용자들을 생태계 내로 적극 유치하고, 이를 통해 생태계를 더 확장해나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디지털 자산 소개
스트라티스는 개발자들이 블록체인 개발을 쉽게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BaaS(Blockchain as a Service)플랫폼입니다. 블록체인 기반의 기술을 개발하려고 할 때 스트라티스 사용자는 스트라티스 퍼블릭 체인 위에 프라이빗 체인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스트라티스 토큰(STRAX)은 이 플랫폼에서 사용되는 디지털 자산입니다.
기술적 특징
1. 스트라티스는 이더리움 플랫폼과 같은 역할을 하지만 STRAX는 비트코인을 기반으로 만들어졌습니다. 합의 알고리즘은 지분증명(Proof of Stake, PoS) 방식을 사용합니다. 2. 스트라티스 플랫폼의 지갑인 브리즈 지갑을 사용하면 비트코인과 STRAX 전송 과정에서 보안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3. 스트라티스는 클라이언트, 앱, 서버의 3계층 아키텍처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현재와 미래
블록체인 기술에 대한 주목도가 높아짐에 따라 블록체인에 대한 접근성을 쉽게 하는 스트라티스는 미래시장 성장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스트라티스는 다양한 IT기업과 제휴를 맺으며 블록체인 기술의 서비스화에 앞장서게 될 것입니다.
디지털 자산 소개
알파쿼크는 디지털화된 지식재산권(IP)을 다루는 NFT 및 메타버스 관련 프로젝트입니다. 영화, 드라마, 웹툰, 음악 등 창작물의 다양한 IP를 NFT화하여 일반 투자자들도 손쉽게 창작물을 제작하거나 창작물과 관련하여 투자 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알파쿼크 유틸리티 토큰(AQT)은 알파쿼크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NFT 마켓플레이스와 메타버스 전시장 등에서 거래를 위한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기술적 특징
1. AQT는 이더리움 네트워크 기반의 ERC-20 토큰입니다. 다른 블록체인과 이더리움 블록체인 간에 이동이 가능한 브릿지 기능을 제공합니다. 2. 알파쿼크의 NFT 마켓플레이스는 바이낸스 스마트 체인 위에서 구동됩니다. 이를 통해 이더리움 블록체인에서 발생하는 높은 수수료에 대한 부담을 줄이고 NFT 발행 및 거래에서 사용자들의 편의성을 높입니다.
현재와 미래
알파쿼크는 현재 게임, DeFi, 도소매 등 여러 산업군의 기업들과 파트너쉽을 맺어 자체적인 알파쿼크 생태계를 구축해나가고 있습니다. 향후 알파쿼크는 AQT의 용도를 플랫폼의 운영 정책들을 결정하기 위한 투표권, 스테이킹 등 다양한 용도로 확장하여 거버넌스 시스템을 공고히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디지털 자산 소개
골렘은 탈중앙화된 오픈소스 네트워크를 목적으로 설계된 이더리움 기반 디앱(DApp)을 운영하는 프로젝트입니다. 골렘 네트워크는 분산된 컴퓨팅 자원을 P2P(Peer to Peer)로 연결 및 공유해주어 소프트웨어 개발자들이 저렴한 비용으로 컴퓨팅 자원을 제공 받을 수 있게 합니다. 골렘 토큰(GLM)은 골렘 네트워크상 컴퓨팅 자원을 사용 및 대여시 비용 혹은 보상으로 사용됩니다.
기술적 특징
1. 골렘은 컴퓨팅 자원들에 대해 구성원들의 민주적인 접근을 가능케 하여 누구나 골렘 네트워크를 통해 컴퓨팅 자원들을 거래하고, 앱을 개발할 수 있게 됩니다. 2. 골렘은 이더리움 네트워크에서 벗어나 자체 메인넷을 통해 구성원들의 자생적인 골렘 생태계를 조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사용자들은 머신러닝, 패스워드 복구, 턴제 전략 게임 등 다양한 분야의 앱들을 골렘 네트워크 위에 개발하여 골렘 네트워크를 풍부하게 만듭니다.
현재와 미래
골렘은 베타 메인넷들을 지속적으로 출시하여 오픈소스 상호작용 및 프록시프리(Proxy Free) 환경을 만들어 개발 환경에 더욱 친숙한 네트워크를 만들어 나가고 있습니다. 골렘은 현재 이더리움 기반의 레이어-2 구조를 통한 ZkSync 오프체인을 사용하고 있으며, 추후에는 폴리곤도 도입하여 지속적인 거래 수수료 절감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메인넷이 완성된다면 골렘 네트워크의 활성도는 더욱 높아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디지털 자산 소개
썸씽은 클레이튼(Klaytn) 기반의 비앱(Blockchain App, BApp)으로서 모바일 노래방 서비스 SOMESING을 운영하는 프로젝트입니다. 썸씽 토큰(SSX)은 노래를 부르는 것에 대한 인센티브 및 수수료로 사용되어 썸씽 생태계 활성화에 기여합니다.
기술적 특징
1. SSX는 유틸리티 토큰으로 클레이튼 네트워크의 메인 체인을 활용하여 SOMESING 앱의 스마트 컨트랙트 기능을 자유롭게 활성화하고, 앱 내 거래 시 빠른 처리 속도와 낮은 수수료를 가능하게 합니다. 2.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썸씽 앱 내에서 이용자가 생산한 콘텐츠에 대한 권리가 쉽게 증명되고 SSX로 콘텐츠에 대한 정당한 보상이 주어집니다.
현재와 미래
썸씽은 현재 노래방 서비스를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다양한 음악적 경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추후 썸씽 내 블록체인 데이터를 이용하여 개인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기획사와 연계하여 신인을 발굴하고 가수와 팬을 매개해주는 등 온오프라인에 걸쳐 썸씽만의 음악 생태계를 만들어나갈 예정입니다.
디지털 자산 소개
메타디움은 DID(Decentralized Identifier)라는 키워드로 시작된 퍼블릭 체인으로 개인이 자신의 정보를 소유할 수 있는 자기주권신원(Self-Sovereign Identity,SSI) 구현을 목표로 하는 프로젝트입니다. 블록체인 프로토콜을 통해 투명하고 안전하게 개인의 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질 수 있도록 합니다. 메타디움 토큰(META)은 메타디움 생태계 내 활동의 기본 토큰으로 주로 사용자들이 증명 서비스를 사용할 때 지불 수단으로 사용됩니다.
기술적 특징
1. 합의 알고리즘으로 지분기반 권위증명(Stake-based Proof of Authority,PoA)을 사용하며, 블록을 생성하는 참여자들로 하여금 자산담보를 설정하게 하는 등, 각 참여자들의 이익을 최대화합니다. 이와 동시에 거래 속도 향상을 통해 확장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2. 이더리움의 하드포크(Hard Fork)가 진행 된 이후에도 이더리움 개선 제안(Ethereum Improvement Proposal,EIP)의 업데이트 사항들을 메타디움 메인넷에 적용함으로써 이더리움과 100% 호환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현재와 미래
메타디움은 NFT, 디파이, 게임 등 다양한 서비스 영역에서 디앱(DApp)생태계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추후에 여러 기업들과 디파이, P2E(Play to Earn) 개발을 진행하여 메타디움 생태계를 확장해나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향후 3개월 누적 유통량 계획 - 2021. 12월 : 1,687,369,624 META - 2022. 01월 : 1,687,369,624 META - 2022. 02월 : 1,687,369,624 META 위 유통량 계획은 디지털 자산 프로젝트 측에서 직접 제출한 자료입니다. (프로젝트 연락처: info@metadium.com)
디지털 자산 소개
피르마체인은 블록체인 기반의 전자계약, 데이터 저장소 플랫폼입니다. 블록체인 기반 전자계약 디앱(DApp)을 개발하고 서비스하는 한편, 기존 문서 기반의 사회적/법적 조치 등을 전자화함으로써 사용자들의 편의를 개선하는데 기여하고자 합니다. 피르마체인 토큰(FCT2)은 디앱 사용 요금 지불수단으로 사용됩니다.
기술적 특징
1. 코스모스 SDK(Software Development Kit)를 기반으로 개발되어 기존 이더리움 네트워크의 문제점인 높은 수수료와 느린 합의시간 문제를 개선하였습니다. 2. 피르마체인에서는 계약 당사자간 서명, 해당 파일의 고유 식별값 업로드, 개별 저장소 주소 모니터링, 계약 상태 관리 등을 지원하며, NFT의 생성 및 전송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3. 계약이 완료된 파일과 NFT 생성 데이터는 별도로 IPFS(InterPlanetary File System)를 활용해 탈중앙화된 P2P(Peer to Peer) 네트워크에 저장되며 저장된 즉시 수정이 불가능하기에 원본 진위 여부 확인이 용이합니다.
현재와 미래
피르마체인은 현재 블록체인 전자계약 솔루션 플랫폼인 DONUE을 서비스하고 있으며 지속적인 메인넷 개발 및 업데이트를 통해 자체 메인넷을 구축해 나가고 있습니다. 향후 피르마체인은 타 시스템과의 호환을 통해 시스템을 개선하는 한편, 잠재력이 높은 비즈니스 파트너사들과의 협업을 통해 실질적인 사용처를 확대해나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디지털 자산 소개
코박은 디지털 자산 투자정보와 시세 조회 등을 서비스하는 커뮤니티 플랫폼으로, 블록체인 지갑과 커뮤니티가 결합된 것이 특징인 프로젝트입니다. 코박 토큰(CBK)은 사용자가 코박 서비스에 기여한 만큼 받게 되며, 서비스 내에서 다양한 결제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는 유틸리티 토큰입니다.
기술적 특징
CBK는 코박 생태계 내에서 다음과 같은 경제활동의 매개체로 활용됩니다. 1. 상품과 서비스 이용 및 비화폐성 멤버십 혜택을 얻기 위한 커뮤니티 기여에 대한 보상 2. 플랫폼 지불 수수료 및 생태계 발전을 위한 소각을 통해 보유자들에게 혜택 부여
현재와 미래
코박은 블록체인 기술 기반의 커뮤니티와 지갑이 융합된 플랫폼입니다. 코박 커뮤니티에서는 다양한 거래소에서 거래지원 되고 있는 디지털 자산들에 대한 실시간 투자 정보 및 시세 조회 등이 가능합니다. 향후 코박 플랫폼을 더욱 발전 시켜 CBK의 사용처를 늘려나갈 전망입니다.
디지털 자산 소개
샌드박스는 블록체인 기반의 가상세계(Metaverse) 내에서 사용자들이 디지털 자산을 직접 만들고 구매하고 판매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NFT와 다오(DAO, Decentralized Autonomous Organization)를 결합하여 탈중앙화된 게임 플랫폼을 만들고 운영하는 프로젝트입니다. 샌드박스 토큰(SAND)은 샌드박스 생태계 내에서 화폐, 거버넌스, 예치(staking) 등의 용도로 이용됩니다.
기술적 특징
1. SAND 거래 수수료의 50%는 재단으로 회수되어 샌드박스의 생태계를 유지하거나 새로운 콘텐츠를 생산하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2. SAND 보유자들은 SAND를 화폐로 쓰는 것 외에도 샌드박스 네트워크의 방향성을 결정하는 거버넌스 과정에 권리자로서 참여할 수 있습니다. 또한, SAND를 예치하면 보상을 얻을 수도 있습니다.
현재와 미래
샌드박스는 NFT와 메타버스 기반의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여 유명 투자회사로부터 시리즈B 펀딩을 받는 등 두드러지는 성과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추후 프로젝트는 레이어-2 듀얼체인을 출시하고 이를 기반으로 디파이 서비스나 다오를 도입할 예정이며, 모바일 버전을 출시하는 등 샌드박스 생태계를 확장해 나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디지털 자산 소개
휴먼스케이프는 분산되어 있는 건강 데이터들(Patient-Generated Health Data, PGHD)을 하나의 플랫폼으로 통합하여 아직 정복되지 않은 질병에 대한 해결책을 찾고자하는 프로젝트입니다. 휴먼스케이프 토큰(HUM)은 건강데이터 제공에 대한 보상 및 앱 내 서비스 구매를 위해 사용됩니다.
기술적 특징
1. 사용자가 업로드한 데이터가 원본임을 인증하기 위해 블록체인을 활용합니다. 사용자 데이터의 해시값은 임의로 수정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데이터의 진위 여부 확인이 가능하고, 이를 통해 데이터의 위변조를 막아 사용자의 동의 없는 개인정보 활용 및 유출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2. 데이터 제공에 따른 보상을 HUM으로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프로젝트의 성과를 휴먼스케이프 커뮤니티 내 이용자들과 공유할 수 있으며 더욱 견고한 휴먼스케이프 생태계 구축이 가능해집니다.
현재와 미래
휴먼스케이프 프로젝트는 현재 여러 질환에 대하여 데이터 수집 및 정보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향후에는 다양한 희귀질환 치료를 위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질환 수를 늘리고, 제약회사 및 연구기관 등과 환자들을 연결함으로써 희귀질환에 대한 연구 및 신약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디지털 자산 소개
도지코인(DOGE)은 본래 밈(Meme) 토큰으로 출발하였지만, 시장의 높은 관심 속에서 온라인 지불 수단으로서의 역할을 세계 디지털 자산 시장에 증명하기 위해 노력해나가고 있습니다. 또한, DOGE의 귀여운 마스코트와 유쾌한 커뮤니티는 디지털 자산 개념에 익숙하지 않은 일반인들에게도 친숙함을 주고 있습니다.
기술적 특징
1. DOGE는 라이트코인을 하드포크(Hard Fork)한 럭키코인을 다시 하드포크하여 만들어졌습니다. 2. DOGE은 병합채굴(Merge-mining) 방식을 통해 더 적은 자원으로 빠르고 효율적인 온라인 지불 수단이라는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3. 프로젝트에 따르면 획기적으로 빠른 블록 생성 속도와 적은 수수료로 인해 일상적인 온라인 지불 수단으로서 가치를 인정받고 있습니다.
현재와 미래
DOGE은 "모두의 디지털 자산"이라는 슬로건 하에 온라인 지불 수단으로서 역할을 증명받기 위하여 노력해 왔으며, 서비스 제공자들과 결제처리 사업자들이 DOGE 네트워크에 단순하고 쉬운 방법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핵심 목표로 삼고 있습니다.
디지털 자산 소개
스트라이크는 유저들이 매개자 없이 이더리움 블록체인 위에서 디지털 자산을 빌리고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분산 단기 금융시장 플랫폼입니다. 스트라이크 토큰(STRK)은 플랫폼 내에서 거버넌스 권한 또는 보상의 용도로 사용됩니다.
기술적 특징
1. 스트라이크 플랫폼에는 sTokens이라는 네이티브 토큰(Native Token)이 존재하며, 기초(Underlying) 디지털 자산과 가치를 연동하는데 사용됩니다. 이러한 sTokens은 이더리움 지갑들 간에 전송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프로토콜 내에서 기초자산 가치를 추적할 수 있고 기초자산을 현금화할 수 있습니다. 2. 스트라이크 플랫폼에서 디지털 자산을 빌리기 위해서는 다른 디지털 자산을 담보함으로써 플랫폼 내에 공급을 해야하는데, 이때 공급된 디지털 자산 대비 빌릴 수 있는 디지털 자산의 비율을 Collateral factors라고 부릅니다. 이러한 Collateral factors는 초기에 작성된 스마트 컨트랙트에 의해 정해지며, 이후 스트라이크 거버넌스에 의해 통제됩니다.
현재와 미래
스트라이크는 이더리움 생태계 안에서의 규모있는 분산 단기 금융시장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스트라이크는 유저들이 자유롭게 자신이 가진 디지털 자산을 교환할 수 있는 신뢰성있는 플랫폼을 구축함과 동시에, 개발자들이 이더리움 블록체인 생태계 안에서 새로운 디파이(DeFi) 적용 사례들을 발굴해내기를 지원해나갈 것입니다.
디지털 자산 소개
펀디엑스는 다양한 소매업체에게 디지털 자산 결제 및 거래 포스기인 XPOS를 보급하여 사용자들이 디지털 자산을 통해 제품을 구매 및 판매할 수 있도록하는 P2P(Peer to Peer) 페이먼트 시스템을 운영하는 프로젝트입니다. 펀디엑스 토큰(PUNDIX)은 XPOS의 결제 및 인센티브의 용도로 사용됩니다.
기술적 특징
1. 모든 펀디엑스의 포스기는 XPlugins를 통해 이더리움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있어 모든 ERC-20 토큰은 펀디엑스 포스기를 통한 결제 서비스가 가능합니다. 2. 펀디엑스의 포스기는 구매 요청을 전달하는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 레이어와 판매기록을 남기는 블록체인 레이어, 2개의 레이어를 통해 블록체인에 연결됩니다.
현재와 미래
펀디엑스는 현재 세계 각국에 XPOS를 보급하여 펀디엑스만의 결제 시스템을 확립하는 중에 있습니다. 향후 펀디엑스는 탈중앙화 XPOS 모듈을 도입함으로써 지원되는 ERC-20 토큰 수를 늘리고, PUNDIX 토큰 보유자들을 위한 보상을 출시하는 등 펀디엑스 결제시스템의 상용화 범위를 넓혀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디지털 자산 소개
플로우는 게임, 디앱(DApp), 디지털 자산들의 개발을 지원하는 레이어-1 블록체인 네트워크입니다. Flow는 플로우 네트워크의 네이티브 토큰(Native token)으로서 네트워크 서비스와 데이터 저장공간 사용에 대한 지불, 검증 노드 보상, 거버넌스 참여 등에 사용됩니다.
기술적 특징
1. 플로우는 검증자 노드의 작업을 수집, 합의, 실행 및 검증의 네 가지 역할로 분리하며 파이프라이닝(pipelining)을 적용합니다. 이를 통해 네트워크의 모든 작업에 대한 공유상태를 유지하면서 처리량을 향상시키고 비용을 낮출 수 있습니다. 2. 플로우 메인넷의 스마트 컨트랙트는 카덴스(Cadence)라는 자원지향(Resource-oriented) 프로그래밍 언어를 통해 작성됩니다.
현재와 미래
플로우는 현재 NFT시장의 대표적인 디지털 자산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NBA 탑샷(Top shot)이라는 암호화 게임의 흥행으로 이름을 알렸습니다. NFT 시장에서 많은 프로젝트들을 성공적으로 진행하였으며, 여러 스포츠 스타와 기업들로부터 투자를 유치하였습니다. NFT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향후 플로우 플랫폼은 지속적인 성장과 비즈니스 확장이 예상됩니다.
디지털 자산 소개
던 프로토콜은 콜오브튜티, 도타 등 PC게임 이용자에게 토너먼트 대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입니다. 던 토큰(DAWN)은 서비스 내에서 입장료, 아이템 구매 및 P2E(Play to Earn) 게임의 보상으로 활용되며 ERC-777 기반으로 토큰을 설계하여 발전된 활용성을 도모하였습니다.
기술적 특징
1. 이더리움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구축된 던은 탈중앙화 결제를 지원하여 사용자에게 편리한 사용성과 접근성을 제공합니다. 2. 던 플랫폼에서는 게이머를 위한 토너먼트 대회를 진행하고, 배틀, 래더, 리더보드와 같은 부가기능을 제공합니다. 또한, 토너먼트 및 이벤트 주최자를 위한 B2B(Business to Business) 광고 서비스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현재와 미래
던 플랫폼은 예치(Staking) 기능을 통한 이익 공유, 생태계 내 거버넌스 커뮤니티 활성화, 네트워크 내 상품 및 서비스 교환 수단 등으로 DAWN의 용도를 확장하고자 사용처를 늘려 나가고 있습니다. 향후 던은 여러 게임 관련 기업들과 파트너십을 맺어 던만의 자체적인 게임 생태계를 구축해 나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디지털 자산 소개
엑시인피니티는 포켓몬 게임으로부터 영감을 받은 프로젝트로 게임 플레이를 통해 토큰을 보상으로 획득할 수 있는 디지털 펫 게임입니다. 캐릭터를 구매해 게임을 시작할 수 있으며 배틀, 수집, 펫 키우기 등의 콘텐츠가 있습니다. 엑시인피니트 토큰(AXS)은 엑시인피니티 프로토콜의 거버넌스 토큰이자, 게임 내 지불 수단입니다. 또한 예치(Staking)을 통해 AXS를 보상 받을 수도 있습니다.
기술적 특징
1. 레이어-2 사이드체인 로닌(Ronin)을 자체 개발하여 사용자들에게 더 나은 게임 환경을 제공하고 확장성을 높였습니다. 로닌은 이더리움, 바이낸스, 솔라나 네트워크와 호환이 가능합니다. 2. 사이드체인 로닌의 보안성을 높이기 위해 엑시인피니티는 NFT, 크립토, 게임 등의 산업 파트너들을 검증자(Validator)로 도입하였습니다.
현재와 미래
엑시 인피니티는 소셜 네트워크, 강한 커뮤니티 형성, P2E(Play to Earn) 로서의 기능 향상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P2E게임의 대표 플랫폼 중 하나로서 DeFi 및 NFT와의 결합을 강화하여 생태계를 확장하고자 합니다.
디지털 자산 소개
블록스택은 비트코인 네트워크에 스마트 컨트랙트와 디앱(DApp)개발이 가능하도록 한 블록체인 플랫폼입니다. 스택스 토큰(STX)은 트랜잭션을 처리하거나 스마트 컨트랙트의 수수료로써 지불되며, 스택스의 채굴자나 앱 개발자에게 보상으로 주어집니다.
기술적 특징
1. 블록스택은 앱이 개인 데이터 보안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사용자 스토리지 제어 시스템인 가이아 스토리지 시스템을 사용합니다. 2. 블록스택은 비트코인 네트워크에서 작동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작업 증명(Proof of Work, PoW) 방식의 보안을 사용합니다. 하지만 블록스택의 디앱에서는 전송증명(Proof of Transfer, PoX)의 합의 방식을 사용합니다. 3. 블록스택은 스마트 컨트랙트를 쉽게 프로그래밍 할 수 있는 새로운 언어 Clarity를 도입했습니다. 4. 블록스택은 누구나 앱 계층에서 프로그래밍 할 수 있도록 SDK(Software Development Kit)를 제공합니다.
현재와 미래
블록스택은 보안성을 문제로 비트코인 네트워크에는 프로그래밍을 할 수 없었던 문제를 해결했습니다. 여러 유명 벤처캐피탈로부터 투자를 유치를 받고 2021년에는 미국 증권시장에 상장하는 등 블록스택은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습니다. 앞으로 블록스택은 분산 컴퓨터 시대를 위해 필요한 프로토콜과 디앱들을 추가해나갈 것입니다.
디지털 자산 소개
이캐시(XEC)는 비트코인캐시에서 포크한 비트코인캐시ABC의 새로운 브랜드입니다. 이캐시는 비트코인캐시의 보안성을 유지하면서도 더 빠른 트랜잭션 속도와 낮은 수수료를 제공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습니다. XEC는 견고하고 안정적인 소프트웨어를 제공하여 전 세계 모든사람이 사용할 수 있는 건전한 화폐가 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기술적 특징
1. 이캐시는 아발란체 메인넷을 기반으로 자체 토큰 레이어를 갖추고 있으며, 지분증명(Proof of Stake, PoS)합의 알고리즘을 추가하여 예치(Staking)에 대한 보상, 서브체인 등의 기능을 개발 중입니다. 2. XEC 소유자는 네트워크상에서 XEC를 거래 수수료로 사용하거나 예치를 통해 이캐시 거버넌스에서 의사결정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현재와 미래
이캐시는 비트코인캐시의 장점은 그대로 차용하고 단점은 보완하고자 노력하였습니다. 한정된 토큰 발행량, 채굴량 반감기 등은 유사하지만 예치, 서브체인과 NFT 지원 등을 도입하여 디지털 자산의 혁신을 주도하고자 합니다. 이캐시는 궁극적으로 미래 경제시스템에 디지털 자산이 사용되는 것을 목표로 나아가고 있습니다.
디지털 자산 소개
솔라나는 타 블록체인 대비 빠른 거래처리 속도와 낮은 수수료를 토대로 디앱(DApp)들의 생태계를 조성한 메인넷 프로젝트입니다. 솔라나 토큰(SOL)은 수수료, 예치(Staking), 거버넌스 참여의 수단으로 사용됩니다.
기술적 특징
1. 솔라나는 지분증명(Proof of Stake,PoS) 방식에서 발전한 역사증명(Proof of History) 합의 방식을 채택하여 트랜잭션 속도와 저장공간의 개선을 이루었습니다. 2. 솔라나는 리눅스 커넬(Linux Kernel) 커뮤니티가 만든 VM(Virtual Machine)인 Berkeley Package Filter(BPF)을 사용하여 높은 성능과 보안성을 가집니다.
현재와 미래
솔라나는 기존의 블록체인 모델의 큰 단점인 노드 처리 속도를 획기적으로 높였습니다. 이는 블록체인 플랫폼이 가지고 있는 확장성 문제를 해결한 것으로 타 플랫폼 대비 경쟁력을 보유한 것으로 평가받습니다. 향후 확장성이라는 장점을 바탕으로 솔라나를 기반으로 한 블록체인 프로젝트들이 유입되고, 디앱들이 많아질수록 솔라나 생태계는 더욱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디지털 자산 소개
폴리곤은 이더리움 종합 확장 솔루션 프로젝트로 이더리움 내 여러 디앱(DApp)들에게 맞춤형 이더리움 확장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폴리곤 디지털 자산(MATIC)은 폴리곤 네트워크의 네이티브 토큰(Native Token)으로서 거래 수수료와 예치(staking)에 따른 보상 용도로 사용됩니다.
기술적 특징
1. 폴리곤은 확장성 문제를 해결하는 레이어-2 기술인 플라즈마(Plasma)와 지분증명방식(Proof-of-Stake, PoS) 사이드체인 기술을 결합한 커밋체인(Commit Chain)을 통해 이더리움 확장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2. 독립된 4개의 레이어를 통해 프로젝트마다 필요한 레이어를 맞춤선택 가능하게 하여 이더리움의 높은 비용 및 느린 트랜잭션 처리 속도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공합니다.
현재와 미래
폴리곤은 주요 디앱들에게 맞춤형 확장 솔루션을 제공하고, 자체 레이어-2 디앱을 출시하는 등 자체기술을 기반으로 뚜렷한 정체성을 구축해나가고 있습니다. 향후 폴리곤은 자체적인 독립 레이어들과 커밋체인을 통해 더 많은 디앱들을 폴리곤 네트워크 내에 출시하여 폴리곤 생태계를 넓혀 나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디지털 자산 소개
누사이퍼는 개발자들이 퍼블릭 블록체인 내에서 사적인 데이터(private data)를 저장, 공유, 관리할 수 있도록 디앱(DApp)에 데이터 프라이버시를 제공하는 프로젝트입니다. 누 토큰(NU)은 노드 운영, 예치(staking) 및 보상의 용도로 사용됩니다.
기술적 특징
1. 누사이퍼는 프록시 재암호화(PRE)를 사용하기 때문에 프록시 개체가 개인 키에 대한 액세스 없이 한 공개 키에서 다른 공개 키로 데이터를 변환하거나 재암호화하는 것이 용이합니다. 2. 임계값 서명(TSS) 및 프록시 재서명(PRS) 알고리즘과 같은 임계값 프로토콜을 구현하는 BLS 시그니처 라이브러리 NuBLS를 통해 데이터의 보안성이 강화됩니다.
현재와 미래
누사이퍼는 블록체인 내에서 사적인 데이터에 대한 보안성을 강화하여 많은 사용자들을 끌어모았습니다. 향후 누사이퍼는 Keep Network와의 합병을 통해 Threshold 네트워크를 구축할 예정으로, Threshold 네트워크에서는 누사이퍼와 Keep Network의 모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외에도 누사이퍼는 프록시 재암호화, tBTCv2와 같은 새로운 서비스를 출시함으로써 점차 생태계를 확장해나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디지털 자산 소개
에이브는 사용자가 디지털 자산을 예금/대출 할 수 있도록 서비스 하는 디파이(DeFi) 프로토콜이며, 단기 유동성(대출) 및 안정적인 자본 수익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전통적인 단기 금융시장과 유사합니다. 에이브 토큰(AAVE)은 에이브 플랫폼 서비스의 수수료, 스마트 컨트랙트의 거버넌스 투표 등에 사용됩니다.
기술적 특징
1. 에이브는 초단기로 담보없이 대출 할 수 있는 서비스인 플래시론(Flash Loan)을 도입하였으며, 모든 절차는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 관리됩니다. 2. 에이브에 자금을 예치(Staking)하면 aToken이 생성됩니다. aToken의 가치는 사용자의 예금 자산 가치에 1:1 비율로 고정되며 안전하게 이동 및 거래가 가능합니다. 이를 통해 에이브에서 발생하는 이자 외에도, 유동성 풀(Liquidity Pool)에 aToken을 입금하여 그에 대한 거래 수수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현재와 미래
에이브는 예금/대출 서비스 뿐만 아니라 신용위임, 단기 대출, 온체인(On-Chain)담보, NFT 등 생태계를 꾸준히 확장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습니다. 또한 영국 금융당국으로부터 전자통화기관 자격을 취득하여 더욱 다양한 시도가 가능해졌습니다. 에이브는 활동적이고 혁신적이며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는 새로운 토큰 경제를 바탕으로 꾸준히 발전하고 있습니다.
디지털 자산 소개
1인치 네트워크는 사용자들이 디파이(DeFi) 영역에서 가장 높은 수익성, 속도 및 보안성을 경험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젝트입니다. 뱅코르, 카이버, 유니스왑 등 여러 탈중앙화 거래소(Decentralized Exchange,DEX)들의 분산형 프로토콜을 통합하고 유동성 소스(Source)를 탐색하여 사용자에게 효율적인 스왑(Swap) 경로를 제공합니다. 1인치 네트워크 토큰(1INCH)은 1인치 네트워크의 방향성 및 안건들에 참여자가 투표하는 데 사용되는 거버넌스 토큰입니다.
기술적 특징
1인치 네트워크의 첫번째 프로토콜은 ‘탈중앙화 거래소 모음(DEX Aggregator)’ 솔루션이며, 여러 탈중앙화 거래소들의 유동성 공급 방법들을 모두 모아 그 중에서 사용자들에게 가장 적합한 방법을 제안합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들은 단일 탈중앙화 거래소에서 거래하는 것보다 낮은 비용으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됩니다.
현재와 미래
1인치 네트워크는 'Delayed Price Updates'라는 자체 메커니즘을 도입하여 스왑 사용자를 보호하고 유동성 공급자의 이득을 높일 수 있는 프로토콜을 제공합니다. 또한 지속적인 기술 개발과 거버넌스 환경 개선을 위한 새로운 프레임워크를 도입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