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은행 금 폭매수, 달러 지배에 도전장

중앙은행 금 폭매수, 달러 지배에 도전장


본 사이트는 쿠팡 파트너스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Published on

중앙은행 금 폭매수, 달러 지배에 도전장

세계 각국의 중앙은행이 최근 몇 년간 적극적이고 대규모로 금을 매입하고 있다. UBS가 이번 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중앙은행의 지속적인 금에 대한 관심이 두드러지는데, 이는 금이 인플레이션에 대한 헤지, 시장 스트레스 상황에서의 분산 투자 수단, 경제 혼란기에 신뢰할 수 있는 자산으로서의 역할을 반영한다.

우크라이나 전쟁과 러시아 외화 보유액 약 3,000억 달러의 동결 조치로 인해, 특히 서방의 제재에 취약한 소규모 국가 중앙은행이 금 보유액을 늘리고 있다. 이러한 추세는 달러 기반 현상유지에 즉각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중앙은행 주권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시사하고 국제 금융 시스템 개혁 요구에 더해지고 있다.

2023년 말 기준으로 중앙은행이 보유한 금은 약 37,000톤으로, 총 중앙은행 외환 보유액의 16.7%를 차지한다. 미국, 독일, 이탈리아, 프랑스 등 선진국이 가장 많은 금을 보유하고 있다. 그러나 UBS 전략가들은 신흥시장도 러시아와 중국이 두드러지게 금을 축적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러한 매입은 주요 통화(미국 달러, 유로, 일본 엔, 영국 파운드)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고 자산을 다각화하려는 더 폭넓은 움직임의 일환이다. 세계금협의회가 실시한 외환 관리자 설문조사에서는 금의 장기적 가치, 인플레이션 헤지로서의 역할, 상대방 위험 부족이 금을 보유 자산에 포함시킨 주요 이유로 나타났다. 게다가 공공 부채가 증가하는 상황에서 금의 일일 유동성과 채무 불이행 위험 부족이 매우 중요하다.

국제통화기금(IMF)과 메탈스포커스 등 다른 출처가 보고한 금 매입량의 차이점은 외환 보유액 공개의 민감성과 주권자금이 금을 취득한 것을 보고하지 않는 경우가 있음을 보여준다. 역사적 패턴에 따르면 중앙은행의 조치가 금 가격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현재의 상황을 금본위제를 유지하기 위해 중앙은행이 금을 매도하던 1960년대 중반과 비교하면, 오늘날의 시장은 더 유동적이고 다양하다.

UBS는 "앞서 나아가면서 금에 대한 수요는 중앙은행의 지지를 굳건히 받을 것이다. 향후 수년간 또다른 요인은 미국 달러 약세 예상일 수 있다. 신흥시장 중앙은행은 자국 통화가 미국 달러에 대해 상승할 때 환율 시장에 개입하는 경향이 있다"고 말했다.

"신흥시장 중앙은행이 환율 시장 개입 결과 외화 보유액을 늘릴 수 있음에 따라, 더 많은 금을 매수해야 할 필요성이 커질 수 있다."

UBS는 중앙은행 수요, 지정학적 긴장, 높은 인플레이션, 미국 금리 인하 가능성 등을 지지 요인으로 들며 금에 대해 긍정적인 전망을 유지한다.

이 스위스 증권사는 올해 말까지 금 가격이 온스당 2,600달러, 2025년 중반까지 온스당 2,700달러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하고, 개인 투자자의 미국 달러 기반 균형형 포트폴리오에 5%의 금을 배분할 것을 권고한다.

이러한 중앙은행의 금 매입 추세는 달러 지배에 대한 도전으로 해석될 수 있다. 다각화된 자산 포트폴리오와 경제 및 지정학적 리스크에 대한 헤지 수단을 모색하는 중앙은행의 조치는 국제 금융 시스템의 균형을 바꿀 수 있는 중요한 변화를 시사한다.
출처 - www.investing.com

최신 ETF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