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암호화폐 시장, 실물자산 토큰화와 스테이블코인으로 새로운 시대 여는 중

일본의 암호화폐 시장, 실물자산 토큰화와 스테이블코인으로 새로운 시대 여는 중


본 사이트는 쿠팡 파트너스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Published on

일본의 암호화폐 시장, 실물자산 토큰화와 스테이블코인으로 새로운 시대 여는 중

일본의 암호화폐(가상자산) 시장이 지속적인 성장과 혁신을 이루고 있는 가운데, 무토 모리카와 깅코의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코인데스크 코리아>와의 인터뷰에서 일본 정부의 웹3 시장에 주목하고 있으며, 금융기관과 기업들도 새로운 기회를 모색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올해 일본 시장에서는 실물자산 토큰화(RWA)와 스테이블코인을 중심으로 크게 성장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한다.

RWA는 부동산, 미술품, 국채, 저작권 등과 같은 실물 자산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올려 토큰화하는 것을 말한다. 특히 최근에는 스테이블코인을 활용한 RWA 프로젝트들이 시장에서 급부상하고 있다. 스테이블코인은 송금 수수료, 시간 등의 이점으로 기업 간 결제 분야에서 큰 활용성이 예상되고 있으며, 일본은 지난해 이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며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MUFJ 신탁은행은 일본의 메가뱅크(MUFJ, 미즈호, SMBC) 그룹, 증권거래소, NTT Data 등의 출자를 받아 지난해 10월 토큰 발행 플랫폼인 프로그맷(Progmat)을 설립했다. 무토 CEO는 "현재 MUFJ 신탁은행과 협업을 통해 달러와 엔화를 연동한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할 준비를 하고 있다"면서 "스테이블코인은 RWA의 발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깅코는 한국 시장 진출을 위한 계획을 추진 중이며, 암호화폐 지갑과 웹3 클라우드 서비스를 통해 다방면으로 파트너십을 구축하고 있다고 CEO는 설명했다. 깅코는 암호화폐 거래소를 위한 콜드 월렛을 지원하고 있으며, 일본 시장에서 가장 많이 채택된 지갑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어서, 웹3 게임과 콘텐츠 영역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일본 정부 역시 웹3 산업 성장에 힘을 싣고 있다. 일본은 게임이 웹3 산업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무토 CEO는 "웹3 게임의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면서도 본질적으로 팬들이 열광하는 지속적인 게임 모델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무토 CEO는 한국의 웹3 게임 시장 역시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규제의 어려움은 존재하지만 게임 시장 규모에서 한국은 매우 큰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하고, 한국에서도 사업을 확대할 계획이 있다고 밝혔다. 이러한 동향 속에서 웹3 게임 산업이 발전하고 확장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출처 - www.investing.com

최신 ETF 뉴스